◎道德
[中庸] ‘道也者는 不可須臾離也ㅣ니 可離면 非道也ㅣ라
[中庸 第4章] ‘子ㅣ 曰 道之不行也를 我ㅣ 知之矣로니 知者는 過之하고 愚者는 不及也일새니라 道之不明也를 我ㅣ 知之矣로니 賢者는 過之하고 不肖者는 不及也일새니라’ 道者는 天理之當然이니 中而已矣라 知愚賢不肖之過不及은 則生稟之異而 失其中也ㅣ라 知者는 知之過하야 旣以道爲不足行하고 愚者는 不及知하야 又不知所以行하니 此道之所以常不行也ㅣ라 賢者는 行之過하야 旣以道爲不足知하고 不肖者는 不及行하야 又不求所以知하니 此道之所以常不明也ㅣ니라
도불원인 道不遠人 : [中庸 13章]
[中庸 第26章] ‘天地之道는 博也 厚也 高也 明也 悠也 久也ㅣ니라’ 言天地之道ㅣ 誠一不貳라 故로 能各極其盛이면 而有下文生物之功이라
[中庸 第27章] ‘大哉라 聖人之道여 洋洋乎發育萬物하야 峻極于天이로다’ 峻은 高大也ㅣ라 此는 言道之極於至大而無外也ㅣ라.
도 道 : [論語 述而 6 註] ‘人倫日用之間 所當行者是也’
덕 德 : [論語 述而 6 註] ‘行道而有得於心者’ 德者 得也 得其道而有得於心也. [孟子 公孫丑 上 2 善言德行 註] ‘德行은 得於心而 見於行事者也ㅣ라’
[孝經 註] ‘德者는 人心所得於天之理니 仁義禮智信이 是也ㅣ라
구덕 九德 : [書虞書 皐陶謨 3] ‘皐陶曰 都ㅣ라 亦行有九德하니 亦言其人의 有德인대 乃言曰 載采采니이다 禹曰 何ㅣ오 皐陶曰 寬而栗하며 柔而立하며 愿而恭하며 亂而敬하며 擾而毅하며 直而溫하며 簡而廉하며 剛而塞하며 彊而義니 彰厥有常이 吉哉니이다’ 亦은 總也ㅣ니 亦行有九德者는 總言德之見현於行者ㅣ 其凡有九也ㅣ오 亦言其人有德者는 總言其人之有德也ㅣ라 載는 行이오 采는 事也ㅣ라 總言其人有德인댄 必言其行 某事某事ㅣ라야 爲可信驗也ㅣ라 禹曰何者는 問其九德之目也ㅣ라 寬而栗者는 寬弘而莊栗也ㅣ오 柔而立者는 柔順而植立也ㅣ오 愿而恭者는 謹愿而恭恪也ㅣ라 亂은 治也ㅣ니 亂而敬者는 有治才而敬畏也ㅣ오 擾는 馴也ㅣ니 擾而毅者는 馴擾而果毅也ㅣ라 直而溫者는 徑直而溫和也ㅣ오 簡而廉者는 簡易而廉隅也ㅣ오 剛而塞者는 剛健而篤實也ㅣ오 彊而義者는 彊勇而好義也ㅣ라 而는 轉語辭也ㅣ니 正言而反應者는 所以明其德之不偏이니 皆指其成德之自然이오 非以彼濟此之謂也ㅣ라 彰은 著也ㅣ라 成德이 著之於身하고 而又始終有常은 其吉士矣哉인저
덕성이상 德成而上 : 德이 成就되면 윗자리에 있게 된다. [禮記 樂記] ‘德成而上 藝成而下 行成而先 事成而後’
덕지성야 심지정야 德之盛也 心之正也
[孟子 公孫丑 上2] ‘非其君不事하며 非其民不使하야 治則進하고 亂則退는 伯夷也ㅣ오’ 註 伯夷는 孤竹君之長子ㅣ니 兄弟遜國하고 避紂隱居ㅣ라가 聞文王之德而歸之러니 及武王伐紂에 去而餓死하니라. ‘何事非君이며 何事非民이리오하야 治亦進하며 亂亦進은 伊尹也ㅣ오’ 註 伊尹은 有莘之處士ㅣ니 湯이 聘而用之하야 使之就桀한대 桀이 不能用이어늘 復歸於湯하야 如是者五ㅣ라가 乃相湯而伐桀也하니라. ‘得百里之地而君之면 皆能以朝諸侯有天下ㅣ어니와 行一不義하며 殺一不辜而 得天下는 皆不爲也ㅣ리니’ 以百里而王天下는 德之盛也ㅣ오 行一不義殺一不辜而 得天下를 有所不爲는 心之正也ㅣ라.
도강명대 道强名大 : 道를 억지로 이름하여 大라 한다. [老子 25章] ‘强字之曰道 强爲之名曰大’
도포 道袍 : 1. 古代에 집안에서 입던 平常服. 2. 僧侶나 도사의 옷. 3. 선비의 通常 禮服인 겉옷. 道服.
도체 道體 : 1. 道의 本體. [嚴遵 道德指歸論] ‘夫道體虛無 而萬物有形’ 2. 玉體. 남의 몸을 높여 이르는 말.
도덕인의 비례불성 道德仁義 非禮不成 : [禮記 曲禮 上] ‘道德仁義ㅣ 非禮면 不成하며’ 道는 猶路也ㅣ라 事物當然之理니 人所共由ㅣ라 故로 謂之道ㅣ오 行道而有得於身이라 故로 爲之德이라 仁者는 心之德愛之理오 義者는 心之制事之宜라 四者ㅣ 皆由禮而入하야 以禮而成이라 蓋禮以敬爲本이니 敬者는 德之聚也ㅣ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