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
一. 繼善篇 二. 天命篇
三. 順命篇 四. 孝行篇
五. 正己篇 六. 安分篇
七. 存心篇 八. 戒性篇
九. 勤學篇 十. 訓子篇
十一. 省心篇 十二. 立敎篇
十三. 治敎篇 十四. 治家篇
十五. 安義篇 十六. 遵禮篇
十七. 言語篇 十八. 交友篇
十九. 婦行篇
◌繼善篇
子ㅣ曰 爲善者는 天報之以福하고 爲不善者는 天報之以禍ㅣ니라
子ㅣ曰 見善如不及하고 見不善如探湯하라
漢昭烈이 將終에 勅後主曰 勿以惡小而爲之하고 勿以善小而不爲하라
太公이 曰 見善如渴하고 聞惡如聾하라
太公이 曰 善事란 須貪하고 惡事란 莫樂하라
司馬溫公이 曰 積金以遺子孫이라도 未必子孫이 能盡守ㅣ오 積書以遺子孫이라도 未必子孫이 能盡讀이니 不如積陰德於冥冥之中하야 以爲子孫之計也ㅣ니라
莊子ㅣ 曰 一日不念善이면 諸惡이 皆自起니라
莊子ㅣ 曰 於我善者는 我亦善之하고 於我惡者도 我亦善之니 我旣於人에 無惡이면 人能於我에 無惡哉인져
馬援ㅣ 曰 終身行善이라도 善猶不足이오 一日行惡이라도 惡自有餘ㅣ니라
景行錄에 曰 恩義를 廣施하라 人生何處不相逢이랴 讐寃을 莫結하라 路逢挾處難回避니라
東嶽聖帝垂訓에 曰 一日行善이면 福雖未至나 禍自遠矣오 一日行惡이면 禍雖未至나 福自遠矣니 行善之人은 如春園之草하야 不見其長이나 日有所增하고 行惡之人은 如磨刀之石하야 不見其損이나 日有所虧ㅣ니라
◌天命篇
子ㅣ 曰 順天者는 存하고 逆天者는 亡이니라
子ㅣ 曰 獲罪於天이면 無所禱也ㅣ니라
康節邵先生이 曰 天聽은 寂無音하니 蒼蒼何處尋고 非高亦非遠이라 都只在人心이니라
玄帝垂訓에 曰 人間私語ㅣ라도 天聽은 若雷하고 暗室欺心이라도 神目은 如電이니라
益智書에 云 惡罐이 若滿이면 天必誅之니라
莊子ㅣ 曰 若人이 作不善하야 得顯名者는 人雖不害나 天必戮之니라
種瓜得瓜ㅣ오 種豆得豆ㅣ니 天網이 恢恢하야 疎而不漏ㅣ니라
◌順命篇
子ㅣ 曰 死生이 有命이오 富貴는 在天이니라
萬事分已定이어늘 浮生이 空自忙이니라
景行錄에 云 禍不可倖免이오 福不可再求ㅣ니라
時來風送滕王閣이오 運退雷轟薦福碑니라
列子ㅣ 曰 癡聾痼瘂도 家富豪하고 智慧聰明도 却受貪이라 年月日時 該載定이니 筭來由命不由人이니라
◌孝行篇
詩曰 父兮生我하시고 母兮鞠我하시니 哀哀父母여 生我劬勞삿다 欲報之德인댄 昊天罔極이니라
子ㅣ 曰 孝子之事親也에 居則致其敬하고 養則致其樂하고 病則致其憂하고 喪則致其哀하고 祭則致其嚴이니라
子ㅣ 曰 父母ㅣ 在어시든 不遠遊하며 遊必有方이니라
太公ㅣ 曰 孝於親이면 子亦孝之니 身旣不孝ㅣ면 子何孝焉이리오
孝順은 還生孝順子하고 忤逆은 還生忤逆兒하나니 不信커든 但看簷頭水하라 點點滴滴不差移니라
◌正己篇
子ㅣ 曰 君子有三戒하니 少之時엔 血氣未定이라 戒之在色하고 及其壯也하얀 血氣方剛이라 戒之在鬪하고 及其老也하얀 血氣旣衰라 戒之在得이니라
子ㅣ曰 衆이 好之라도 必察焉하며 衆이 惡之라도 必察焉이니라
酒中不語는 眞君子ㅣ오 財上分明은 是丈夫ㅣ니라
萬事從寬이면 其福自厚ㅣ니라
宰予晝寢이어늘 子ㅣ曰 朽木은 不可雕也ㅣ오 糞土之墻은 不可杇也ㅣ니라
太公이 曰 勿以貴己而賤人하고 勿以自大而蔑小하며 勿以恃勇而輕敵하라
太公이 曰 勤爲無價之寶ㅣ오 愼是護身之符니라
太公이 曰瓜田에 不納履하고 李下에 不整冠이니라
太公이 曰 欲量他人커든 先須自量하라 傷人之語는 還是自傷이니 含血噴人이면 先汚其口ㅣ니라
凡戱는 無益이오 惟勤이 有功이니라
康節邵先生이 曰 聞人言人之謗이라도 未嘗怒하고 聞人言人之譽라도 未嘗喜하며 聞人言人之惡이라도 未嘗和하며 聞人言人之善則 就而和之하고 又從而喜之니 其詩에 曰 樂見善人하며 樂聞善事하며 樂道善言하며 樂行善意라하니 聞人之惡이어든 如負芒刺하며 聞人之善이어든 如佩蘭蕙니라
道吾善者는 是吾賊이오 道吾惡者ㅣ 是吾師ㅣ니라
性理書에 云 見人之善而 尋己之善하고 見人之惡而 尋己之惡이니 如此면 方是有益이니라
近思錄에 云懲忿을 如救火하며 窒慾을 如防水하라
景行錄에 云 大丈夫ㅣ 當容人이언정 無爲人所容이니라
景行錄에 云 保生者는 寡慾하고 保身者는 避名이니 無慾은 易나 無名은 難이니라
景行錄에 曰 食淡精神爽하고 心淸夢寐安이니라
景行錄에 曰 心可逸이언정 形不可不勞ㅣ오 道可樂이언정 身不可不憂ㅣ니 形不勞則 怠惰易弊하고 身不憂則 荒淫不定이라 故로 逸生於勞而 常休하고 樂生於憂而 無厭이니 逸樂者는 憂勞를 其可忘乎아
定心應物이면 雖不讀書ㅣ나 可以爲有德君子ㅣ니라
耳不聞人之非하고 目不視人之短하며 口不言人之過ㅣ면 庶幾君子ㅣ니라
蔡伯諧曰 喜怒는 在心하야 言出於口하나니 不可不愼이니라
馬援이 曰 聞人過失이면 如聞父母之名하야 耳可得聞이언정 口不可得言也ㅣ니라
筍子ㅣ 曰 無用之辯과 不急之察을 棄而勿治니라
孫眞人養生銘에 曰 怒甚偏傷氣하고 思多太損神이라 神疲心易役이오 氣弱病相因이라 勿使悲歡極하고 當令飮食均하라 再三防夜醉하고 第一戒晨嗔이니라
紫虛元君 誠諭心文에 曰 福生於淸儉하고 德生於卑退하며 道生於安靜하고 命生於和暢하며 患生於多慾하고 禍生於多貪하며 過生於輕慢하고 罪生於不仁이니 戒眼莫看他非하고 戒口莫談他短하며 戒心莫出貪嗔하고 戒身莫隨惡伴하라 無益之言을 莫妄說하고 不干己事를 莫妄爲하라 尊君王孝父母하며 敬尊長奉有德하며 別賢愚恕無識하라 物順來而勿拒하며 物旣去而勿追하며 身未遇而勿望하고 事已過而勿思하라 聰明도 多暗昧오 算計도 失便宜니 損人終自失이오 依勢禍相隨ㅣ라 戒之在心하고 守之在氣니 爲不節而亡家하고 因不廉而失位니라 勸君自警於平生하노니 可歎可驚而可畏니라 上臨之以天鑑하고 下察之以地祗라 明有王法相繼하고 暗有鬼神相隨ㅣ라 惟正可守ㅣ오 心不可欺니 戒之戒之하라
夷堅志에 云 避色如避讐하고 避風如避箭하며 莫喫空心茶하고 少食中夜飯하라
◌安分篇
子ㅣ 曰 不在其位하얀 不謀其政이니라
景行錄에 云 知足可樂이오 務貪可憂니라
知足者는 貧賤亦樂하고 不知足者는 富貴亦憂니라
知足常足이면 終身不辱하고 知止常止면 終身無恥니라
擊壤詩에 云 安分身無辱이오 知幾心自閒이니 雖居人世上이나 却是出人間이니라
語에 云 房室은 不在高大하고 不漏便好하며 衣服은 不在綾羅하고 和暖便好하며 飮食은 不在珎羞하고 飽腹便好하며 娶妻는 不在顔色하고 賢淑便好하며 親戚은 不在新舊하고 來往便好하며 隣里는 不在高低하고 和睦便好하며 朋友는 不在酒食하고 扶持便好ㅣ니라
◌存心篇
子ㅣ 曰 聰明思睿라도 守之以愚하고 功被天下ㅣ라도 守之以讓하며 勇力振世라도 守之以㥘하며 富有四海라도 守之以謙이니라
百巧百成이 不如一拙이니라
范忠宣公이 戒子弟曰 人雖至愚라도 責人則明하고 雖有聰明이라도 恕己則昏이니 爾曺는 但當以責人之心으로 責己하고 恕己之心으로 恕人則 不患不到聖賢地位也ㅣ니라
朱文公이 曰 守口如甁하고 防意如城하라
心不負人이면 面無慚色이니라
人無百歲人이나 枉作千年計니라
寇萊公 六悔銘에 曰 官行私曲失時悔하고 富不儉用貧時悔하고 藝不少學過時悔하고 見事不學用時悔하고 醉後狂言醒時悔하고 安不將息病時悔니라
孫思邈이 曰 膽欲大而心欲小하고 智欲圓而行欲方이니라
念念要如臨戰日하고 心心常似過橋時니라
惧法朝朝樂이오 欺公日日憂니라
素書에 云 薄施厚望者는 不報하고 貴而忘賤者는 不久ㅣ니라
施恩勿求報하고 與人勿追悔하라
景行錄에 云 坐密室을 如通衢하고 馭寸心을 如六馬ㅣ면 可免過ㅣ니라
景行錄에 云 責人者는 不全交ㅣ오 自恕者는 不改過ㅣ니라
夙興夜寢하며 所思忠孝者는 人雖不知나 天必知之하며 飽食暖衣하며 怡然自衛者는 身雖安이나 其如子孫에 何오
以愛妻子之心으로 事親則 曲盡其孝하고 以保富貴之心으로 奉君則 無往不忠이며 以責人之心으로 責己則 寡過하고 以恕己之心으로 恕人則 全交ㅣ니라
爾謀不臧이면 悔之何及이며 爾見不長이면 敎之何益이리오 利心專則背道하고 私意確則滅公이니라
生事事生이오 省事事省이니라
擊壤詩에 云 富貴를 如將智力求인댄 仲尼도 年少合封侯ㅣ니라
世人은 不解靑天意하고 空使身心半夜愁ㅣ니라
益智書에 云 寧無事而家貧이언정 莫有事而家富ㅣ오 寧無事而住茅屋이언정 不有事而住金屋이오 寧無病而食麤飯이언정 不有病而食良藥이니라
心安茅屋穩이오 性定菜羹香이니라
◌戒性篇
家語에 云 危其身者는 好發人之惡이니라
紉蘭握瑾者는 誨妬之良謀也ㅣ오 要肆利孔者는 招怨之危機也ㅣ오 宏談硬論者는 騰謗之健駟也ㅣ오 方人擬物者는 反刺之銛刃也ㅣ니라
子張이 欲行에 辭於夫子할새 願賜一言이 爲修身之美하노이다 夫子ㅣ 曰 百行之本이 忍之爲上하니라 子張이 曰 何爲忍之니잇고 夫子ㅣ 曰 天子ㅣ 忍之면 國無害하고 諸侯ㅣ 忍之면 成其官하고 官吏ㅣ 忍之면 進其位하고 兄弟忍之면 家富貴하고 夫妻ㅣ 忍之면 終其世하고 朋友ㅣ 忍之면 名不廢하고 自身이 忍之면 無患禍ㅣ니라 子張이 曰 不忍이면 如何하니잇고 夫子ㅣ 曰 天子ㅣ 不忍이면 國空虛하고 諸侯ㅣ 不忍이면 喪其軀하고 官吏不忍이면 刑法誅하고 兄弟不忍이면 各分居하고 夫妻ㅣ 不忍이면 令子孤하고 朋友ㅣ 不忍이면 情意疎하고 自身不忍이면 患不除니라 子張이 曰 善哉善哉라 難忍難忍이여 非人不忍이오 不忍非人이로다
景行錄에 云 人性은 如水하니 水一傾則 不可復이오 性一縱則 不可反이니 制水者는 必以隄防이오 制性者는 必以禮法이니라
景行錄에 云 屈己者는 能處重하고 好勝者는 必遇敵이니라
忍一時之氣면 免百日之憂ㅣ니라
得忍且忍하고 得戒且戒니 不忍不戒면 小事成大니라
惡人이 罵善人커든 善人은 摠不對하라 不對면 心淸凈이오 罵者는 口熱沸라 正如人唾天하면 還從己身墮니라
我若被人罵라도 佯聾不分說하면 臂如火燒空하야 不求自然滅이라 我心等虛空하야 摠爾反脣舌이니라
凡事에 留人情이면 後來好相見이니라
◌勤學篇
子夏ㅣ 曰 博學而篤志하고 切問而近思ㅣ면 仁在其中矣니라
莊子ㅣ 曰 人之不學은 如登天而無術하고 學而智遠이면 如披祥雲而覩靑天하고 登高山而望四海니라
禮記에 曰 玉不琢이면 不成器하고 人不學이면 不知道ㅣ니라
太公이 曰 人生不學이면 冥冥如夜行이니라
韓文公이 曰 人不通古今이면 馬牛而襟裾ㅣ니라
朱文公이 曰 家若貧이라도 不可因貧而廢學이오 家若富ㅣ라도 不可恃富而怠學이니 貧若勤學이면 可以立身이오 富若勤學이면 名乃光榮이니라 惟見學者顯達이오 不見學者無成이니 學者는 乃身之寶ㅣ오 學者는 乃世之珍이니라 是故로 學則乃爲君子ㅣ오 不學則爲小人이니 後之學者는 宜各勉之니라
徽宗皇帝曰 學者는 如禾如稻하고 不學者는 如蒿如草ㅣ로다 如禾如稻兮여 國之精糧이오 世之大寶로다 如蒿如草兮여 耕者憎嫌하고 鋤者煩惱니라 他日面墻에 悔之已老ㅣ니라
論語에 曰 學如不及이오 猶恐失之니라
◌訓子篇
景行錄에 云 賓客不來면 門戶俗하고 詩書無敎ㅣ면 子孫愚이니라
莊子ㅣ 曰 事雖小ㅣ나 不作이면 不成이오 子雖賢이나 不敎ㅣ면 不明이니라
漢書에 云 黃金滿籝이 不如敎子一經이오 賜子千金이 不如敎子一藝니라
至樂은 莫如讀書ㅣ오 至要는 莫如敎子ㅣ니라
呂滎公이 曰 內無賢父兄하고 外無嚴師友ㅣ오 而能有成者ㅣ 鮮矣니라
太公이 曰 男子ㅣ 失敎ㅣ면 長必頑愚하고 女子ㅣ 失敎ㅣ면 長必麤疎ㅣ니라
男年이 長大어든 莫習樂酒하고 女年이 長大어든 莫令遊走하라
嚴父는 出孝子하고 嚴母는 出孝女ㅣ니라
憐兒ㅣ어든 多與棒하고 憎兒ㅣ어든 多與食하라
人皆愛珠玉이나 我愛子孫賢이니라
◌省心篇 上
景行錄에 云 寶貨는 用之有盡이오 忠孝는 享之無窮이니라
家和貧也好ㅣ어니와 不義(誼)富如何오 但存一子孝ㅣ니 何用子孫多ㅣ리오
父不憂心因子孝ㅣ오 夫無煩惱是妻賢이라 言多語失皆因酒ㅣ오 義斷親疎只爲錢이니라
旣取非常樂이어든 須防不測憂ㅣ니라
得寵思辱하고 居安慮危니라
榮輕辱淺하고 利重害深이니라
甚愛必甚費오 甚譽必甚毁오 甚喜必甚憂ㅣ오 甚藏必甚亡이니라
子ㅣ 曰 不觀高崖면 何以知顚墜之患이며 不臨深泉이면 何以知沒溺之患이며 不觀巨海면 何以知風波之患이리오
欲知未來인대 先察已然이니라
子ㅣ 曰 明鏡은 所以察形이오 往古는 所以知今이니라
過去事는 明如鏡이오 未來事는 暗似漆이니라
景行錄에 云 明朝之事를 薄暮에 不可必이오 薄暮之事를 晡時에 不可必이니라
天有不測風雨하고 人有朝夕禍福이니라
未歸三尺土하야는 難保百年身이오 已歸三尺土하야는 難保百年墳이니라
景行錄에 云 木有所養이면 則根本固而枝葉茂하야 棟樑之材成하고 水有所養이면 則泉源壯而流派長하야 灌漑之利博하고 人有所養이면 則志氣大而識見明하야 忠義之士ㅣ 出이니 可不養哉아
自信者는 人亦信之하야 越이 皆兄弟ㅣ오 疑者는 人亦疑之하야 外에 皆敵國이니라
疑人莫用하고 用人勿疑니라
諷諫에 水底魚天邊雁은 高可射兮低可釣ㅣ어니와 惟有人心咫尺間에 咫尺人心不可料니라
畵虎畵皮難畵骨이오 知知面不知心이니라
對面共話하되 心隔千山이니라
海枯終見底ㅣ나 人死不知心이니라
太公이 凡人은 不可逆相이오 水는 不可斗量이니라
景行錄에 云 結怨於人을 謂之種禍ㅣ오 捨善不爲를 謂之自賊이니라
若聽一面說이면 便見相離別이니라
飽煖엔 思淫慾하고 飢寒엔 發道心이니라
䟽廣이 曰 賢而多財則損其志하고 愚而多財則益其過ㅣ니라
人貧智短하고 福至心靈이니라
不經一事ㅣ면 不長一智니라
是非終日有ㅣ라도 不聽自然無니라
來說是非者는 便是是非人이니라
擊壤詩에 云 平生에 不作皺眉事하면 世上에 應無切齒人이라 大名을 豈有鐫頑石가 路上行人이 口勝碑니라
有麝自然香이니 何必當風立고
有福莫享盡하라 福盡身貧窮이오 有勢莫使盡하라 勢盡寃相逢이라 福兮常自惜하고 勢兮常自恭하라 人生驕與侈는 有始多無終이니라
王參政四留銘에 曰 留有餘不盡之巧하야 以還造物하고 留有餘不盡之祿하야 以還朝廷하고 留有餘不盡之財하야 以還百姓하고 留有餘不盡之福하야 以還子孫이니라
黃金千兩이 未爲貴오 得人一語ㅣ 勝千金이니라
巧者는 拙之奴ㅣ오 苦者는 樂之母ㅣ니라
小船은 難堪重載오 深逕은 不宜獨行이니라
黃金이 未是貴오 安樂이 値錢多니라
在家不會邀賓客이면 出外方知少主人이니라
貧居鬧市無相識이요 富住深山有遠親이니라
人義는 盡從貧處斷이요 世情은 便向有錢家니라
寧塞無底缸이언정 難塞鼻下橫이니라
人情은 皆爲窘中疎ㅣ니라
史記에 曰 郊天禮廟는 非酒不享이오 君臣朋友는 非酒不義오 鬪爭相和는 非酒不勸이라 故로 酒有成敗而不可泛飮之니라
子ㅣ 曰 士ㅣ 志於道而 恥惡衣惡食者는 未足與議也ㅣ니라
荀子ㅣ 曰 士有妬友則 賢交不親하고 君有妬臣則 賢人不至니라
天不生無祿之人하고 地不長無名之草ㅣ니라
大富는 由天하고 小富는 由勤이니라
成家之兒는 惜糞如金하고 敗家之兒는 用金如糞이니라
康節邵先生이 曰 閑居에 愼勿說無妨하라 纔說無妨便有妨이니라 爽口物多能作疾이요 快心事過必有殃이라 與其病後能服藥으론 不若病前能自防이라
梓潼帝君垂訓에 曰 妙藥이 難醫冤債病이요 橫財는 不富命窮人이라 生事事生을 君莫怨하고 害人人害를 汝休嗔하라 天地自然皆有報하니 遠在兒孫近在身이니라
花落花開開又落하고 錦衣布衣更(경)換着이라 豪家도 未必常富貴오 貧家도 未必長寂寞이라 扶人에 未必上靑霄ㅣ오 推人에 未必塡溝壑이라 勸君凡事를 莫怨天하라 天意於人에 無厚薄이니라
堪歎人心毒似蛇ㅣ라 誰知天眼轉如車ㅣ오 去年妄取東隣物이러니 今日還歸北舍家라 無義錢財는 湯潑雪이오 儻來田地는 水推沙ㅣ니라 若將狡譎爲生計면 恰似朝開暮落花ㅣ니라
無藥可醫卿相壽ㅣ오 有錢難買子孫賢이니라
一日淸閒이면 一日仙이니라
◌省心篇 下
眞宗皇帝御製에 曰 知危識險이면 終無羅網之門이오 擧善薦賢이면 自有安身之路ㅣ라 施仁布德은 乃世代之榮昌이오 懷妬報寃은 與子孫之危患이라 損人利己면 終無顯達雲仍이오 害衆成家ㅣ면 豈有長久富貴리오 改名異體는 皆因巧語而生이오 禍起傷身은 皆是不仁之召ㅣ니라
神宗皇帝御製에 曰 遠非道之財하고 戒過度之酒하며 居必擇隣하고 交必擇友하며 嫉妬를 勿起於心하고 讒言을 勿宣於口하며 骨肉貧者를 莫疎하고 他人富者를 莫厚하며 克己는 以勤儉爲先하고 愛衆은 以謙和爲首하며 常思已往之非하고 每念未來之咎하라 若依朕之斯言이면 治國家而可久니라
高宗皇帝御製에 曰 一星之火도 能燒萬頃之薪하고 半句非言도 誤損平生之德이라 身被一縷나 常思織女之勞하고 日食三飧(飱)이나 每念農夫之苦하라 苟貪妬損이면 終無十載安康이오 積善存仁이면 必有榮華後裔니라 福緣善慶은 多因積行而生이오 入聖超凡은 盡是眞實而得이니라
王良이 曰 欲知其君인댄 先視其臣하고 欲識其人인댄 先視其友하고 欲知其父인댄 先視其子하라 君聖臣忠하고 父慈子孝ㅣ니라
家語에 云 水至淸則無魚하고 人至察則無徒ㅣ니라
許敬宗이 曰 春雨如膏ㅣ나 行人은 惡其泥濘하고 秋月揚輝나 盜者는 憎其照鑑이니라
景行錄에 云 大丈夫는 見善明故로 重名節於泰山하고 用心精故로 輕死生於鴻毛ㅣ니라
悶人之凶하고 樂人之善하며 濟人之急하고 求人之危니라
經目之事도 恐未皆眞이어늘 背後之言을 豈足深信이리오
不恨自家汲繩短하고 只恨他家苦井深이로다
贓濫이 滿天下하되 罪拘薄福人이니라
天若改常이면 不風則雨ㅣ오 人若改常이면 不病則死ㅣ니라
壯元詩에 云 國正天心順이오 官淸民自安이라 妻賢夫禍少ㅣ오 子孝父心寬이니라
子ㅣ 曰 木從繩則直하고 人受諫則聖이니라
一派靑山景色幽러니 前人田土後人收ㅣ라 後人收得莫歡喜하라 更有收人在後頭ㅣ니라
蘇東坡ㅣ曰 無故而得千金이면 不有大福이라 必有大禍ㅣ니라
康節邵先生이 曰 有人來問卜하되 如何是禍福고 我虧人是禍ㅣ오 人虧我是福이니라
大廈千間이라도 夜臥八尺이오 良田萬頃이라도 日食二升이니라
久住令人賤이요 頻來親也疎ㅣ라 但看三五日에 相見不如初ㅣ니라
渴時一滴은 如甘露ㅣ오 醉後添盃는 不如無ㅣ니라
酒不醉人人自醉오 色不迷人人自迷니라
公心을 若比私心이면 何事不辦이며 道念을 若同情念이면 成佛多時니라
濂溪先生이 曰 巧者言하고 拙者黙하며 巧者勞하고 拙者逸하며 巧者賊하고 拙者德하며 巧者凶하고 拙者吉하나니 嗚呼ㅣ라 天下拙이면 刑政이 撤하야 上安下順하며 風淸弊絶이니라
易에 曰 德微而位尊하고 智小而謀大면 無禍者ㅣ 鮮矣니라
說苑에曰 官怠於宦成하고 病加於小愈하며 禍生於懈惰하고 孝衰於妻子ㅣ니 察此四者하야 愼終如始니라
器滿則溢하고 人滿則喪이니라
尺璧非寶ㅣ오 寸陰是競이니라
羊羹이 雖美나 衆口는 難調ㅣ니라
益智書에 云 白玉은 投於泥塗ㅣ라도 不能汚穢其色이오 君子는 行於濁地라도 不能染亂其心하나니 故로 松柏은 可以耐雪霜이오 明智는 可以涉危難이니라
入山擒虎는 易어니와 開口告人은 難이니라
遠水는 不救近火ㅣ오 遠親은 不如近隣이니라
太公이 曰 日月이 雖明이나 不照覆盆之下하고 刀刃이 雖快나 不斬無罪之人하고 非災橫禍는 不入愼家之門이니라
太公이 曰 良田萬頃이 不如薄藝隨身이니라
性理書에 云 接物之要는 己所不欲을 勿施於人하고 行有不得이어든 反求諸己니라
酒色財氣四堵墻에 多少賢愚在內廂이라 若有世人跳得出이면 便是神仙不死方이니라
◌立敎篇
子ㅣ 曰 立身有義하니 而孝爲本이오 喪紀有禮하니 而哀爲本이오 戰陣有列하니 而勇爲本이오 治政有理하니 而農爲本이오 居國有道하니 而嗣爲本이오 生財有時하니 而力爲本이니라
景行錄에 云 爲政之要는 曰公與淸이오 成家之道는 曰儉與勤이니라
讀書는 起家之本이오 循理는 保家之本이오 勤儉은 治家之本이오 和順은 齊家之本이니라
孔子三計圖에 云 一生之計는 在於幼하고 一年之計는 在於春하고 一日之計는 在於寅이니 幼而不學이면 老無所知오 春若不耕이면 秋無所望이오 寅若不起면 日無所辦이니라
性理書에 云 五敎之目은 父子有親하며 君臣有義하며 夫婦有別하며 長幼有序하며 朋友有信이니라
三綱은 君爲臣綱 父爲子綱 夫爲婦綱이니라
王蠋이 曰忠臣은 不事二君이오 烈女는 不更二夫ㅣ니라
忠子ㅣ 曰 治官莫若平이오 臨財莫若廉이니라
張思叔座右銘에 曰 凡語를 必忠信하며 凡行을 必篤敬하며 飮食을 必愼節하며 字畫을 必楷正하며 容貌를 必端莊하며 衣冠을 必肅整하며 步履를 必安詳하며 居處를 必正靜하며 作事를 必謀始하며 出言을 必顧行하며 常德을 必固持하며 然諾을 必重應하며 見善如己出하며 見惡如己病하라 凡此十四者는 皆我未深省이라 書此當座隅하야 朝夕視爲警하노라
范益謙座右銘에 曰 一不言 朝廷利害 邊報差除ㅣ오 二不言 州縣官員 長短得失이오 三不言 衆人所作 過惡之事ㅣ오 四不言 仕進官職 趨時附勢ㅣ오 五不言 財利多少 厭貧求富ㅣ오 六不言 淫媟戱慢 評論女色이오 七不言 求覓人物 干索酒食이오 又 人附書信을 不可開坼沈滯ㅣ오 與人並坐에 不可窺人私書ㅣ오 凡入人家에 不可看人文字ㅣ오 凡借人物에 不可損壞不還이오 凡喫飮食에 不可揀擇去取오 與人同處에 不可自擇便利오 凡人富貴를 不可歎羨詆毁니 凡此數事에 有犯之者ㅣ면 足以見用意之不肖ㅣ니 於存心修身에 大有所害라 因書以自警하노라
武王이 問太公曰 人居世上에 何得貴賤貧富不等고 願聞說之하야 欲知是矣로이다 太公이 曰 富貴는 如聖人之德하야 皆由天命이어니와 富者는 用之有節하고 不富者는 家有十盜니이다
武王이 曰 何謂十盜ㅣ잇고 太公이 曰 時熟不收ㅣ 爲一盜ㅣ오 收積不了ㅣ 爲二盜ㅣ오 無事燃燈寢睡ㅣ 爲三盜ㅣ오 慵懶不耕이 爲四盜ㅣ오 不施功力이 爲五盜ㅣ오 專行巧害ㅣ 爲六盜ㅣ오 養女太多ㅣ 爲七盜ㅣ오 晝眠懶起ㅣ 爲八盜ㅣ오 貪酒嗜慾이 爲九盜ㅣ오 强行嫉妬ㅣ 爲十盜ㅣ니이다
武王이 曰 家無十盜而不富者는 何如하니잇고 太公이曰 人家에 必有三耗니이다 武王이 曰 何名三耗ㅣ니잇고 太公이 曰 倉庫漏濫不蓋하야 鼠雀亂食이 爲一耗ㅣ오 收種失時ㅣ 爲二耗ㅣ오 抛撒米穀穢賤이 爲三耗ㅣ니이다
武王이 曰 家無三耗而不富者는 何如하니잇고 太公이曰 人家에 必有一錯二誤三痴四失五逆六不祥七奴八賤九愚十强하야 自招其禍ㅣ 非天降殃이니이다
武王이 曰 願悉聞之하나이다 太公이 曰 養男不敎訓이 爲一錯이오 嬰孩不訓이 爲二誤ㅣ오 初迎新婦不行嚴訓이 爲三痴오 未語先笑ㅣ 爲四失이오 不養父母ㅣ 爲五逆이오 夜起赤身이 爲六不祥이오 好挽他弓이 爲七奴ㅣ오 愛騎他馬ㅣ 爲八賤이오 喫他酒勸他人이 爲九愚ㅣ오 喫他飯命朋友ㅣ 爲十强이니이다 武王이 曰 甚美誠哉라 是言也ㅣ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