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治政篇
明道先生이 曰 一命之士ㅣ 苟有存心於愛物이면 於人에 必有所濟니라
宋太宗御製에 云 上有麾之하고 中有乘之하고 下有附之하야 幣帛衣之하고 倉廩食之하니 爾俸爾祿이 民膏民脂니라 下民은 易虐이어니와 上天은 難欺니라
童蒙訓에 曰 當官之法이 唯有三事하니 曰淸 曰愼 曰勤이니 知此三者ㅣ면 則知所以持身矣니라
當官者는 必以暴怒爲戒하야 事有不可ㅣ어든 當詳處之면 必無不中이어니와 若先暴怒ㅣ면 只能自害라 豈能害人이리오
事君을 如事親하며 事官長을 如事兄하며 與同僚를 如家人하며 待羣吏를 如奴僕하며 愛百姓을 如妻子하며 處官事를 如家事然後에 能盡吾之心이니 如有毫末不至면 皆吾心에 有所未盡也ㅣ니라
或이 問 簿는 佐令者也ㅣ니 簿所欲爲를 令或不從이면 奈何하니잇고 伊川先生이 曰 當以誠意動之니라 今令與簿ㅣ 不和는 便是爭私意오 令은 是邑之長이니 若能以事父兄之道로 事之하야 過則歸己하고 善則唯恐不歸於令하야 積此誠意면 豈有不動得人이리오
劉安禮ㅣ 問臨民한대 明道先生이 曰 使民으로 各得輸其情이니라 問御吏한대 曰 正己以格物이니라
抱朴子ㅣ 曰 迎斧鉞而正諫하며 據鼎鑊而盡言이면 此謂忠臣也ㅣ니라
◌治家篇
司馬溫公이曰 凡諸卑幼ㅣ 事無大小히 毋得專行하고 必咨稟於家長이니라
待客엔 不得不豊이오 治家엔 不得不儉이니라
太公이曰 痴人은 畏婦하고 賢女는 敬夫ㅣ니라
凡使奴僕엔 先念飢寒이니라
子孝雙親樂이오 家和萬事成이니라
時時防火發하고 夜夜備賊來니라
景行錄에云 觀朝夕之早晏하야 可以卜人家之興替니라
文中子ㅣ曰 婚娶而論財는 夷虜之道也ㅣ니라
◌安義篇
顔氏家訓에曰 夫有人民而後에 有夫婦하고 有夫婦而後에 有父子하고 有父子而後에 有兄弟하니 一家之親은 此三者而已矣라 自玆以往으로 至于九族히 皆本於三親焉이라 故로 於人倫에 爲重也ㅣ니 不可不篤이니라
莊子ㅣ曰 兄弟는 爲手足하고 夫婦는 爲衣服이니 衣服破時엔 更得新이어니와 手足斷處엔 難可續이니라
蘇東坡ㅣ云 富不親兮貧不疎는 此是人間大丈夫ㅣ오 富則進兮貧則退는 此是人間眞小輩니라
◌遵禮篇
子ㅣ 曰 居家有禮故로 長幼辨하고 閨門有禮故로 三族和하고 朝廷有禮故로 官爵序하고 田獵有禮故로 戎事閑하고 軍旅有禮故로 武功成이니라
子ㅣ 曰 君子ㅣ 有勇而無禮면 爲亂하고 小人이 有勇而無禮면 爲盜ㅣ니라
曾子ㅣ 曰 朝廷엔 莫如爵이오 鄕黨엔 莫如齒오 輔世長民엔 莫如德이니라
老少長幼는 天分秩序니 不可悖理而傷道也ㅣ니라
出門如見大賓하고 入室如有人이니라
若要人重我인대 無過我重人이니라
父不言子之德하며 子不談父之過ㅣ니라
◌言語篇
劉會曰 言不中理면 不如不言이니라 一言不中이면 千語無用이니라
君平이 曰 口舌者는 禍患之門이오 滅身之斧也니라
利人之言은 煖如綿絮하고 傷人之語는 利如荊棘하야 一言利人에 重値千金이오 一語傷人에 痛如刀割이니라
口是傷人斧ㅣ오 言是割舌刀ㅣ니 閉口深藏舌이면 安身處處牢ㅣ니라
逢人에 且說三分話하고 未可全抛一片心이니 不怕虎生三個口ㅣ오 只恐人情兩樣心이니라
酒逢知己千鍾少ㅣ오 話不投機一句多ㅣ니라
◌交友篇
子ㅣ曰 與善人居ㅣ면 如入芝蘭之室하야 久而不聞其香이나 卽與之化矣오 與不善人居ㅣ면 如入鮑魚之肆하야 久而不聞其臭나 亦與之化矣니 丹之所藏者는 赤하고 漆之所藏者는 黑이라 是以로 君子는 必愼其所與處者焉이니라
家語에云 與好人同行이면 如霧露中行하야 雖不濕衣라도 時時有潤하고 與無識人同行이면 如厠中坐하야 雖不汚衣라도 時時聞臭니라
子ㅣ曰 晏平仲은 善與人交ㅣ로다 久而敬之온여
相識이 滿天下하되 知心能幾人고
酒食兄弟는 千個有로되 急難之朋은 一個無ㅣ니라
不結子花는 休要種이오 無義之朋은 不可交ㅣ니라
君子之交는 淡如水하고 小人之交는 甘若醴니라
路遙知馬力이요 日久見人心이니라
◌婦行篇
益智書에 云 女有四德之譽하니 一曰婦德이오 二曰婦容이오 三曰婦言이오 四曰婦工也ㅣ니라
婦德者는 不必才名絶異오 婦容者는 不必顔色美麗ㅣ오 婦言者는 不必辯口利詞ㅣ오 婦工者는 不必技巧過人也ㅣ니라
其婦德者는 淸貞廉節하야 守分整齊하고 行止有恥하며 動靜有法이니 此爲婦德也ㅣ오 婦容者는 洗浣塵垢하야 衣服鮮潔하며 沐浴及時하야 一身無穢니 此爲婦容也ㅣ오 婦言者는 擇詞而說하야 不談非禮하고 時然後言하야 人不厭其言이니 此爲婦言也ㅣ오 婦工者는 專勤紡績하고 勿好葷酒하며 供具甘旨하야 以奉賓客이니 此爲婦工也ㅣ니라
此四德者는 是婦人之所不可缺者ㅣ라 爲之甚易하고 務之在正하니 依此而行이면 是爲婦節이니라
太公曰 婦人之禮는 語必細니라
賢婦는 令夫貴ㅣ오 侫婦는 令夫賤이니라
家有賢妻ㅣ면 夫ㅣ 不遭橫禍니라
賢婦는 和六親하고 佞婦는 破六親이니라
◌增補篇
周易에 曰 善不積이면 不足以成名이오 惡不積이면 不足以滅身이어늘 小人은 以小善으로 爲无益而弗爲也하고 以小惡으로 爲无傷而弗去也ㅣ니라 故로 惡積而不可掩이오 罪大而不可解니라
履霜하면 堅氷至하나니 臣弑其君하며 子弑其父는 非一朝一夕之事ㅣ라 其所由來者ㅣ 漸矣니라
◌八反歌 八首
幼兒는 或詈我하면 我心에 覺懽喜하고 父母는 嗔怒我하면 我心에 反不甘이라 一喜懽一不甘하니 待兒待父心何懸고 勸君今日逢親怒ㅣ어든 也應將親作兒看하라
兒曹는 出千言하대 君聽常不厭하고 父母는 一開口하면 便道多閑管이라 非閑管親掛牽이니 皓首白頭에 多諳練이라 勸君敬奉老人言하고 莫敎乳口爭長短하라
幼兒尿糞穢는 君心에 無厭忌로되 老親涕唾零엔 反有憎嫌意니라 六尺軀來何處오 父精母血成汝體니라 勸君敬待老來人하라 壯時爲爾筋骨敝니라
看君晨入市하야 買餠又買餻하니 少聞供父母하고 多說供兒曹ㅣ라 親未啖兒先飽하니 子心이 不比親心好라 勸君多出買餠錢하야 供養白頭光陰少하라
市間賣藥肆에 惟有肥兒丸하고 未有壯親者하니 何故兩般看고 兒亦病親亦病에 醫兒不比醫親症이라 割股還是親的肉이니 勸君亟保雙親命하라
富貴엔 養親易로대 親常有未安하고 貧賤엔 養兒難하대 兒不受饑寒이라 一條心兩條路에 爲兒終不如爲父ㅣ라 勸君養親如養兒하고 凡事를 莫推家不富하라
養親엔 只二人이로대 常與兄弟爭하고 養兒엔 雖十人이나 君皆獨自任이라 兒飽煖親常問하대 父母饑寒不在心이라 勸君養親을 須竭力하라 當初衣食이 被君侵이니라
親有十分慈하되 君不念其恩하고 兒有一分孝하면 君就揚其名이라 待親暗 待兒明하니 誰識高堂養子心고 勸君漫信兒曹孝하라 兒曹樣子在君身이니라
◌孝行篇 續
孫順이 家貧하야 與其妻로 傭作人家以養母할새 有兒每奪母食이라 順이 謂妻曰 兒奪母食하니 兒는 可得이어니와 母難再求라하고 乃負兒往歸醉山北郊하야 欲埋掘地러니 忽有甚奇石鍾이어늘 驚怪試撞之하니 舂容可愛라 妻曰 得此奇物은 殆兒之福이라 埋之不可라한대 順이 以爲然하야 將兒與鍾還家하야 懸於樑撞之러니 王이 聞鍾聲淸遠異常而覈聞其實하고 曰 昔에 郭巨埋子엔 天賜金釜ㅣ러니 今孫順埋兒엔 地出石鍾하니 前後符同이라하야 賜家一區하고 歲給米五十石하니라
尙德이 値年荒癘疫하야 父母飢病濱死ㅣ라 尙德이 日夜不解衣하고 盡誠安慰하대 無以爲養이면 則刲髀肉食之하고 母發癰에 吮之卽癒ㅣ라 王이 嘉之하야 賜賚甚厚하며 命旌其門하고 立石紀事하니라
都氏ㅣ 家貧至孝ㅣ라 賣炭買肉하야 無闕母饌이러라 一日은 於市에 晩而忙歸러니 鳶忽攫肉이어늘 都ㅣ 悲號至家하니 鳶旣投肉於庭이러라 一日은 母病하야 索非時之紅柿어늘 都ㅣ 彷徨柿林하야 不覺日昏이러니 有虎屢遮前路하고 以示乘意라 都ㅣ 乘至百餘里山村하야 訪人家投宿이러니 俄而主人이 饋祭飯而有紅柿라 都ㅣ 喜하야 問柿之來歷하고 且述己意한대 答曰 亡父ㅣ 嗜柿라 故로 每秋에 擇柿二百個하야 藏諸窟中하야 而至此五月이면 則完者不過七八이라가 今得五十個完者ㅣ라 故로 甚異之러니 是天感君孝ㅣ라하고 遺以二十顆어늘 都ㅣ 謝出門外하니 虎尙俟伏이라 乘至家하니 曉雞喔喔이러라 後에 母以天命終에 都有血淚ㅣ러라
◌廉義篇
印觀이 賣綿於市할새 有署調者ㅣ 以穀買之而還이러니 有鳶이 攫其綿하야 墮印觀家ㅣ어늘 印觀이 歸于署調曰 鳶墮汝綿於吾家ㅣ라 故로 還汝하노라 署調ㅣ 曰 鳶이 攫綿與汝는 天也ㅣ라 吾何受爲리오 印觀이 曰 然則還汝穀하리라 署調ㅣ 曰 吾與汝者ㅣ 市二日이니 穀已屬汝矣라하고 二人이 相讓이라가 幷棄於市하니 掌市官이 以聞王하야 並賜爵하니라
洪公耆燮이 少貧甚無聊ㅣ러니 一日朝에 婢兒踊躍 獻七兩錢曰 此在鼎中하니 米可數石이오 柴可數馱니 天賜天賜니이다 公이 驚曰 是何金고하고 卽書失金人推去等字하야 付之門楣而待러니 俄而姓劉者ㅣ 來問書意어늘 公이 悉言之한대 劉曰 理無失金於人之鼎內하니 果天賜也ㅣ라 盍取之니잇고 公이 曰 非吾物에 何오 劉ㅣ 俯伏曰 小的이 昨夜에 爲窃鼎來라가 還憐家勢蕭條而施之러니 今感公之廉价하고 良心自發하야 誓不更盜하고 願欲常侍하오니 勿慮取之하소서 公이 卽還金曰 汝之爲良則善矣나 金不可取라하고 終不受하니라 後에 公이 爲判書하고 其子在龍이 爲憲宗國舅하며 劉亦見信하야 身家大昌하니라
高句麗平原王之女ㅣ 幼時에 好啼러니 王이 戱曰 以汝로 將歸愚溫達하리라 及長에 欲下嫁于上部高氏한대 女ㅣ 以王不可食言이라하야 固辭하고 終爲溫達之妻하니라 蓋溫達이 家貧하야 行乞養母하니 時人이 目爲愚溫達也ㅣ러라 一日은 溫達이 自山中으로 負楡皮而來하니 王女ㅣ 訪見曰 吾乃子之匹也ㅣ라하고 乃賣首飾하야 而買田宅器物頗富하고 多養馬以資溫達하야 終爲顯榮하니라
◌勸學篇
朱子ㅣ 曰 勿謂今日不學하고 而有來日하며 勿謂今年不學하고 而有來年하라 日月逝矣라 歲不我延이니 嗚呼老矣라 是誰之愆고
少年은 易老하고 學難成하니 一寸光陰인들 不可輕이라 未覺池塘에 春草夢하야 階前에 梧葉이 已秋聲이라
陶淵明詩에 云 盛年은 不重來하고 一日은 難再晨이니 及時當勉勵하라 歲月은 不待人이니라
荀子ㅣ 曰 不積蹞步ㅣ면 無以至千里오 不積小流ㅣ면 無以成江河ㅣ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