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1.01.01 21:31

고시조 모음

조회 수 4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古時調 모음

 

까마귀 검다하고 白鷺야 웃지 마라

겉이 검은들 속조차 검을손가

겉희고 속검을손 너뿐인가 하노라

 

내벗이 몇이냐 하니 水石松竹이라

동산에 달 오르니 기 더욱 반갑고야

이밖에 또 더하여 무엇하리

五友歌 孤山 尹善道

 

꽃은 무슨 일로 피면서 쉬이 지고

풀은 어이하여 푸르는 듯 누르나니

아마도 변치 않을 손 바위뿐인가 하노라

五友歌 (바위)

 

나무도 아닌 것이 풀도 아닌 것이

곧기는 뉘시기며 속은 어이 비었는가

저러고 사시에 푸르니 그를 좋아하노라

五友歌 (대나무)

 

작은 것이 높이 떠서 萬物을 다 비추니

밤중에 光明이 너만 한이 또 있는가

보고도 말 아니하니 내벗인가 하노라

五友歌 ()

 

 

꽃 피면 달 생각하고 달 밝으면 술 생각하고

꽃 피자 달 밝자 술 얻으면 벗 생각하네

언제면 꽃아래 벗 대리고 玩月長醉 하려뇨

三洲 李鼎輔

 

나비야 靑山에 가자 범나비 너도 가자

가다가 저물거든 꽃에 들어 자고 가자

꽃에서 푸대접하거든 잎에서나 자고 가자

 

男女有別 한 줄을 사람마다 알련마는

학문을 모르면 알기 아니 어려우랴

참으로 國法이 있으니 無別無行 하지마라

 

 

泰山이 높다하되 하늘아래 메이로다

오르고 또 오르면 못 오를 리 없건마는

사람이 제 아니 오르고 메만 높다 하더라

 

구름이 無心탄 말이 아마도 虛浪하다

中天에 떠 있어 任意로 다니면서

구태어 光明한 날빛을 따라가며 덮다니

石灘 李存吾

 

어져 내일이여 그릴줄을 모르더냐

이시라 하더면 가랴마는 제 구태어

보내고 그리는 정은 나도 몰라하노라

黃眞伊

 

내마음 베어내어 저 달을 만들고져

九萬里 長天에 번 듯이 걸려있어

고운님 계신 곳에 가 비치어나 보리라

松江 鄭 澈

 

風波에 놀란 사공 배팔아 말을 사니

九折 羊腸이 물도곤 어려왜라

이후란 배도 말도 말고 밭갈기만 하리라

落西 張 晩

 

空山寂寞한데 슬피 우는 저 杜鵑

蜀國 興亡이 어제오늘 아니거든

至今껏 피나게 울어 남의 애를 끊나니

晩雲 鄭忠信

 

꽃이 진다하고 새들아 슬퍼 마라

바람에 흩날리니 꽃의 탓 아니로다

가노라 휘젔는 봄을 새워 무엇하리오

俛仰亭 宋 純

 

白雪이 잦아진 곳에 구름이 머흘에라

반가운 梅花는 어느 곳에 피었는고

夕陽에 홀로 서서 갈곳 몰라 하노라

牧隱 李 穡

 

 

지아비 밭 갈러 간데 밥 고리 이고 가

밥상을 받들되 눈썹에 맞추나이다

코도 고마우시니 손이시나 다르실가

愼齋 周世鵬

 

팔목 쥐시거든 두 손으로 받치리라

나갈데 계시거든 막대 들고 쫓으리라

鄕飮酒 한 후에 모셔가려 하노라

松江 鄭 澈

 

靑山은 어찌하여 萬古에 푸르르며

流水는 어찌하여 晝夜에 긋지아니 하는고

우리도 그치지 마라 萬古常靑 호리라

李滉 陶山十二曲 其五

 

愚夫도 알며 할거니 긔 아니 쉬운가

聖人도 못다하시니 긔 아니 어려운가

쉽거니 어렵거낫 중에 늙는 줄을 몰래라

李滉 陶山十二曲 其六

 

 

 

 

 

 

 

 

 

 

 

 

 

사슴이랑 이리함께 산길을 가며

바위틈에 어리우는 물을 마시면

살아있는 즐거움이 저 언덕에서

아련히 풀피리도 들려 오누나

 

돌부리 가시밭에 다친 발길이

아물어 꽃잎에 스치는 날은

푸나무에 열리는 과일을 따며

춤과 노래도 가꾸어 보자

 

동해동녁 바다에 해떠오는 아침에

북바치는 설움을 하소하리라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고시조 모음 운영자2 2021.01.01 43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