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家)의 異稱 (FA기타)
우리나라에서 固有 家屋이나 건축물을 指稱하는 말로는 대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闕 宮 殿 閣 院 舍 家 屋 堂 齋 院 軒 祠 亭 臺 室 廳 房 宅 등.
▣ 闕 : 大闕. 王이 집무하든 宮闕.
◈ 宮 : 왕이 다스리던 시대에 왕의 거처와 관청을 아울러 갖춘 건축물로 宮闕 宮殿 등으로 활용된다. 景福宮 창덕궁 창경궁 德壽宮 惠慶宮 阿房宮 등. 전통 건축에서는 100칸 이상이 되어야 宮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는데 흥선대원군의 집을 운현궁이라 칭하기 위하여 고종이 즉위 후에 집을 증축하여 운현궁이라 하였다.
◈ 殿 : 높고 크며 웅장하거나 장엄하게 꾸민 집을 말하며 명사 밑에 붙어서 宮殿이나 大成殿 大雄殿 등으로 쓰이는데 임금이나 聖賢을 모시는 건물에 사용된다. 勤政殿 仁政殿 集賢殿 毘盧殿 極樂殿 山神殿
◈ 閣 : 石築이나 壇上에 높게 세운 집을 말하며 명사 앞에 붙어서 격식이 높은 집이란 뜻으로 樓閣 殿閣 등이 이에 속한다. 藏書閣 滕王閣 壬辰閣 崇慕閣 永慕閣
◈ 院 : 書院 翰林院 樞密院 禪院 病院 學院 學術院 法院.
◈ 舍 : 임금에 준하는 신하들이 머무는 곳을 말하며 조선시대 地方官衙의 하나로 지방에 오는 관원을 대접하는 客舍가 그 예이다.
◈ 精舍 : 儒學者나 선비들이 學問이나 講學을 하는 집.
◈ 家 : 사람이 거처하기 위하여 벽과 지붕을 꾸며 외부 공간을 막고 바닥을 설치한 구조물로 작은 집을 말한다. 草家 瓦家 大夫家 家門 本家 査家 外家 妻家 一家
◈ 屋 : 家屋 草屋 茅屋 瓦屋 社屋
◈ 廟 : 位牌나 神主를 모시고 祭祀를 지내기 위한 건물로 祠堂 나라의 宗廟, 成均館 鄕校의 文廟, 書院의 廟와 祠, 士大夫家의 家廟 등이 있다.
◈ 祠 : 書院 祠堂 등에서 位牌를 모시고 祭祀를 지내기 위한 건물로 祠堂 祠宇 廟 등이 이에 속한다.
◈ 堂 : 官衙 寺院 등의 큰 집을 말하기도 한다. 堂號로 虛白堂 獨樂堂 忠孝堂 愛日堂 寒暄堂 雪月堂 萬卷堂
◈ 齋 : 고려나 조선시대의 國子監 四學 鄕校 精舍 書院에 딸린 儒生들의 기숙사로 건물의 위치에 따라 東齋 西齋로 나누었다. 成均館의 경우에는 上齋와 下齋로 구분하여 상재에는 生員 進士가 거처하고 하재에는 전국 각지에서 뽑은 幼學들이 거처하였다.
홍만선의 재물보에 의하면 燕居之室이라고 하는데 그 뜻은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곳으로 볼 수 있다.
◈ 齋室 : 齋는 위 齋의 설명과는 달리 墓祭를 지내기 위한 건물로서 齋舍 齋宮 등으로 불린다. 齋室은 묘에서 행하는 儀禮행위를 지원하기 위한 건물로 祠堂과는 구별된다.
◈ 軒 : 丁若鏞의 雅言覺非에 따르면 넓은 창이 있고 처마가 있는 집을 軒으로 해석하고, 마루가 있는 집을 廳이라 정의하였다. 房室 書齋 등을 뜻하기도 하며, 선비들의 號아래 붙여 쓰기도 한다. 梅竹軒 烏竹軒 蘭雪軒
◈ 樓 : 높게 놓은 마루를 지칭하기도 하며 마루 널을 깐 2층집 즉 마루 바닥이 지면보다 높게 되거나 2층처럼 지은 집을 말하며 樓閣 層樓 등이 이에 속한다. 岳陽樓 矗石樓 嶺南樓 晩對樓 浮壁樓
◈ 亭 : 잠시 머물면서 山水와 詩酒를 즐기고 遊宴하기 위하여 세우는 작은 집을 말 하며 樓亭 亭子 등이 속한다. 醉翁亭 月松亭 望洋亭. 號 아래 붙여 쓰기도 한다. 四佳亭 俛仰亭
◈ 臺 : 흙이나 돌 따위를 높게 쌓아서 사방을 바라 볼 수 있게 만든 집을 말한다. 山水 自然 景觀이 좋은 곳을 말하기도 한다. 太宗臺 海雲臺 飛仙臺 觀魚臺 仙魚臺 등.
◈ 廳 : 마루를 깐 마루방을 말하며 크고 넓게 되어서 사무를 보는 방을 말하기 도 하며 官廳 機關을 의미하기도 한다.
◈ 室 : 사람이 起居하며 일을 하는 방을 말한다. 선비집의 龕室 寢室 別室 등.
◈ 房 : 상시 거처하는 곳으로 주택에서는 온돌을 꾸며 놓은 온돌방을 말하기도 한다. 안방 사랑방 마루방 행랑방 등
◈ 宅은 집을 가리키며 宗家를 지칭하는 宗宅이나 宅號 邸宅 自宅 住宅 등으로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