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禮記集說註解
學記∙樂記 <FA 대경기획>
金 時 晃 金 正 和 |
編 |
東 洋 禮 學 會
目 次
學記 第十八 1
樂記 第十九 22
學記第十八
石石0000石石梁王氏曰 六經에 言學字ㅣ 莫先於說命이라 此篇은 不詳言先王學制與 敎者學者之法하고 多是泛論하니 不如大學篇에 敎是敎箇甚 學是學箇甚이로다
<3-285>
發慮憲하며 求善良은 足以謏小聞이오 不足以動衆이며
發慮憲은 謂致其思慮하야 以求合乎法則也ㅣ오 求善良은 親賢也ㅣ니 此二者는 可以小致聲譽ㅣ오 不能感動衆人이니라 謏는 小也ㅣ라
就賢하며 體遠은 足以動衆이오 未足以化民이니
就賢은 禮下賢德之士也ㅣ니 如王이 就見孟子之就ㅣ오 體는 如中庸에 體羣臣之體니 謂設以身處其地而 察其心也ㅣ오 遠은 疏遠之臣也ㅣ라 此二者는 可以感動衆人이오 未能化民也ㅣ라 <3-286>
君子ㅣ 如欲化民成俗커든 其必由學乎인저
化民成俗은 必如唐虞之於變時雍이라야 乃爲至耳라 然則舍學何以哉아 此學은 乃大學之道ㅣ 明德新民之事也ㅣ라 <3-287>
玉不琢이면 不成器하고 人不學하면 不知道하나니 是故로 古之王者ㅣ 建國君民하시고 敎學으로 爲先하시니 兌說命에 曰念終始典于學이라하니 其此之謂乎인저
建國君民은 謂建立邦國하야 以君長其民也ㅣ오 敎學爲先은 以立敎立學으로 爲先務也ㅣ라 兌命은 尙書ㅣ라 典은 常也ㅣ라 <3-287>
雖有嘉肴하나 弗食이면 不知其旨也하며 雖有至道하나 弗學이면 不知其善也하나니 是故로 學然後에야 知不足하며 敎然後에야 知困이니 知不足然後에야 能自反也하며 知困然後에야 能自强也ㅣ라 故로 曰敎學이 相長也ㅣ니 兌命에 曰學效ㅣ 學半이라하니 其此之謂乎인저
學學然後에 知不足은 謂師資於人이라야 方知己所未至也ㅣ오 敎然後知困은 謂無以應人之求則 自知困辱也ㅣ오 自反은 知反求而已오 自强則有黽勉倍進之意오 敎學相長은 謂我之敎人과 與資人이 皆相爲長益也ㅣ니 引說命에 斅學半者는 劉氏曰 敎人之功이 居吾身學問之半이라 蓋始之修己는 所以立其體니 是一半終之敎人所以致其用이오 又是一半此所以終始典于學이라 成己成物하야 合內外之道然後에 謂學問之全功也ㅣ라
<3-289>
古之敎者ㅣ 家有塾하며 黨有庠하며 術當爲州有序하며 國有學하나니 比年에 入學이어든 中年에 考校하야 一年에 視離經辨志하고 三年에 視敬業樂五敎反羣하고 五年에 視博習親師하고 七年에視論學取友하나니 謂之小成이오 九年에 知類通達하야 强立而不反이니 謂之大成이라
古者에 二十五家ㅣ 爲閭하니 同在一巷하야 巷首에 有門하고 門側에 有塾하야 民在家者ㅣ 朝夕受敎於塾也ㅣ라 五百家ㅣ 爲黨하니 黨之學曰庠이니 敎閭塾所升之人也ㅣ오 術은 當爲州ㅣ니 萬二千五百家ㅣ 爲州하니 州之學曰序라 周禮에 鄕大夫ㅣ 春秋에 以禮會民而 射于州序ㅣ 是也ㅣ니 序則敎黨學所升之人이오 天子所都 及諸侯國中之學은 謂之國學이니 以敎元子衆子 及鄕大夫士之子與 所升俊選之士焉이라 比年은 每歲也ㅣ니 每歲에 皆有入學之人하고 中年은 間一年也ㅣ니 與小記에 中一以上之中으로 同하니 每間一年而 考校其藝之進否也ㅣ오 離經은 離絶經書之句讀也ㅣ오 辨志는 辨別其趨向之邪正也ㅣ오 敬業則 於所習에 無怠忽하고 樂羣則 於朋徒에 無睽貳하고 博習則 不以程度로 爲限制하고 親師則 於訓誨에 知嗜好하고 論學은 講求學問之縕奧也ㅣ오 取友는 擇取益者而友之也ㅣ니 能如此ㅣ면 是는 學之小成也ㅣ오 至於九年則理明義精하야 觸類而長하야 無所不通하야 有卓然自立之行而 外物이 不得以奪之矣니 是는 大成也ㅣ라 ○朱子ㅣ 曰 這幾句ㅣ 都是上兩字는 說學이오 下兩字는 說所得處ㅣ니 如離經은 便是學이오 辨志는 是所得處이니 他倣此ㅣ니라 <3-292>
夫然後에야 足以化民易俗하야 近者ㅣ 說服하고 而遠者ㅣ 懷之니 此ㅣ 大學之道也ㅣ라 記에 曰蛾子時術之라하니 其此之謂乎인저
前言成俗은 成其美俗也ㅣ오 此言易俗은 變其汙俗也ㅣ라 以此大成之士而官使之면 其功效ㅣ 如此ㅣ니 是所謂大學敎人之道也ㅣ라 蛾子는 蟲之微者ㅣ니 亦時時述學銜土之事而 成大垤하니 以喩學者ㅣ 由積學而成大道也ㅣ라 此는 古記之言이라 故로 引以證其說하니라
大學始敎에 皮弁祭菜는 示敬道也ㅣ오
始敎學者는 入學之初也ㅣ라 有司ㅣ 衣皮弁之服하고 祭先師以蘋藻之菜는 示之以尊敬道藝也ㅣ라 <3-294>
宵雅肄異三은 官其始也ㅣ
當祭菜之時하야 使歌小雅中 鹿鳴四牡皇皇者華之三篇而 肄習之하니 此三詩는 皆君臣燕樂相勞苦之辭ㅣ니 蓋以居官受任之美로 誘諭其初志라 故로 曰官其始也ㅣ라 ○朱子ㅣ 曰 聖人敎人ㅣ 合下便要他用하니 便要用賢하야 以治不賢하며 擧能하야 以敎不能하니 所以公卿大夫在下ㅣ 思各擧其職이라
入學鼓篋은 孫其業也ㅣ오
入學時에 大胥之官이 擊鼓하야 以召學士하고 學士至則發篋하야 以出其書籍等物하고 警之以鼓聲하야 使以遜順之心으로 進其業也ㅣ라 書에 言惟學은 遜志라하니라 <3-296>
夏古雅反楚二物은 收其威也ㅣ오
夏는 榎也ㅣ오 楚는 荊也ㅣ라 榎形은 圓하고 楚形은 方하니 以二物爲扑하야 以警其怠忽者하야 使之收斂威儀也ㅣ라
未卜禘하야 不視學은 游其志也ㅣ오 時觀而弗語는 存其心也ㅣ오 幼者ㅣ 聽而弗問은 學不躐等也ㅣ니 此七者ㅣ 敎之大倫也ㅣ라 記에 曰凡學은 官先事ㅣ오 士先志라하니 其此之謂乎인저 <3-297>
禘는 五年之大祭也ㅣ니 不五年이면 不視學은 所以優游學者之心志也ㅣ니 此又非仲春仲秋視學之禮라 使觀而感於心하고 不言以盡其理하야 欲其自得之也ㅣ라 故로 曰存其心하고 幼者ㅣ 未必能問이오 問亦未必知要ㅣ라 故로 但聽受師說而 無所請하고 亦長幼之等이 當如是하야 不可踰躐也ㅣ라 ○劉氏曰 自皮弁祭菜로 至聽而弗問 凡七事는 皆大學爲敎之大倫이니 大倫은 猶言大節耳라 官先事士先志는 竊意官是已仕者ㅣ오 士是未仕者ㅣ니 謂已仕而爲學 則先其職事之所急이오 未仕而爲學 則未得見諸行事ㅣ라 故로 先其志之所尙也ㅣ라 子夏ㅣ 曰 仕而優則學이라하니 是는 已居官而爲學也ㅣ오 王子墊이 問士는 何事ㅣ오 孟子ㅣ 曰 尙志라하시니 是는 未仕而學則 先尙志也ㅣ라 然이나 大學之道는 明德新民而已니 先志者는 所以明德이오 先事者는 所以新民이니 七事에 上句는 皆敎者之事ㅣ오 下句는 皆學者之志니라 <3-298>
大學之敎也는 時敎ㅣ 必有正業하며 退息에必有居學이니 不學操縵莫半反이면 不能安弦이오 不學博依면 不能安詩오 不學雜服이면不能安禮오 不興其藝면 不能樂五敎反學이니 故로 君子之於學也에 藏焉하며 修焉하며 息焉하며 遊焉이니라
舊說에 大學之敎也時ㅣ 句絶이오 退息에 必有居ㅣ 句絶이라 今讀時字는 連下句하고 學字는 連上句ㅣ라 謂四時之敎ㅣ 各有正業하니 如春秋에 敎以禮樂하고 冬夏에 敎以詩書하고 春誦夏絃之類ㅣ 是也ㅣ오 退而燕息에 必有燕居之學이니 如退而省其私한대 亦足以發이 是也ㅣ라 弦也詩也禮也는 此ㅣ 時敎之正業也ㅣ오 操縵博依雜服은 此ㅣ 退息之居學也ㅣ니 凡爲學之道ㅣ 貴於能安하니 安則心與理融而 成熟矣라 然이나 未至於安則 在乎爲之不厭 而不可有作輟也ㅣ오 操縵은 操弄琴瑟之絃也ㅣ니 初學者ㅣ 手與絃이 未相得이라 故로 雖退息이라도 時亦必操弄之하야 不廢라도 乃能習熟而安於絃也ㅣ오 詩人比興之辭이 多依託於物理 而物理至慱也ㅣ라 故로 學詩者ㅣ 但講之於學校而 不能於退息之際에 廣求物理之所依附者則 無以驗其實而 於詩之辭에 必有疑殆而 不能安者矣오 雜服은 冕弁衣裳之類ㅣ니 先王制作에 禮各有服하야 極爲繁雜하니 學者ㅣ 但講之於學而 不於退息時에 遊觀行禮者之雜服則 無以盡識其制而 於禮之文에 必有彷佛而 不能安者矣라 興者는 意之興起而 不能自已者ㅣ오 藝는 卽三者之學이 是也ㅣ니 言退息時에 若不興此三者之藝則 謂之不能好學矣라 故로 君子之於學也에 藏焉修焉之時에 必有正業則 所習者ㅣ 專而志不分하고 息焉遊焉之際에 必有居學則 所養者ㅣ 純而藝愈熟이라 故로 其學이 易成也ㅣ라 ○朱子ㅣ 曰 古人이 服各有等降하니 若理會得雜服則於禮에 思過半矣라
夫然故로 安其學而親其師하며 樂其友而信其道ㅣ라 是以로 雖離師輔而不反也ㅣ니 兌命에 曰호대 敬孫務時敏이면 厥修ㅣ乃來라하니 其此之謂乎인저
承承승승ㅇ承上文而言藏修遊息에 無不在於學이라 是以로 安親樂信하야 雖離師友ㅣ나 亦不畔於道也ㅣ라 時敏은 無時而不敏也ㅣ오 厥修乃來는 言其進修之益이 如水之源源而來也ㅣ라
今之敎者는 呻其佔畢하고 多其訊호대 言及于數하며 進而不顧其安하며 使人不由其誠하며 敎人不盡其材라 其施之也ㅣ 悖하며 其求之也ㅣ 佛하나니 夫然故로 隱其學而疾其師하며 苦其難而不知其益也하야 雖終其業하나 其去之必速하나니 敎之不刑이 其此之由乎인저
呻은 吟諷之聲也ㅣ오 佔은 視也ㅣ오 畢은 簡也ㅣ오 訊은 問也ㅣ니 言今之敎人者는 但吟諷其所佔視之簡牘하야 不能通其縕奧하고 乃多發問辭하야 以訊問學者而所言이 又不止一端이라 故로 云言及于數也ㅣ오 不顧其安은 不恤學者之安否也ㅣ오 不由其誠은 不肯實用其力也ㅣ오 不盡其材는 不能盡其材之所長也ㅣ라 夫多其訊而 言及于數則 與時敎必有正業者로 異矣오 使人不由其誠하고 敎人不盡其材則 與退息必有居學者로 異矣라 惟其如此하니 是以로 師之所施者ㅣ 常至於悖逆하고 學者之所求ㅣ 每見其拂戾也하나니 隱其學은 不以所學으로 自表見也ㅣ오 終業而又速去之는 以其用工이 間斷하야 鹵莽滅裂而 不安不樂故也ㅣ오 刑은 成也ㅣ라 朱子ㅣ 曰 橫渠ㅣ 作簡하야 與人言 其子ㅣ 日來誦書不熟이어늘 且敎他熟誦하야 以盡其誠與材하니 他解此兩句에 只作一意解라하니 言人之材 足以有爲나 但以不由於誠 則不盡其材라
大學之法은 禁於未發之謂豫오 當其可之謂時오 不陵節而施之謂孫이오 相觀而善之謂摩ㅣ니 此四者ㅣ 敎之所由興也ㅣ라
豫者는 先事之謂오 時者는 不先不後之期也ㅣ오 陵은 踰犯也ㅣ오 節은 如節候之節이니 禮有禮節하고 樂有樂節하고 人有長幼之節하니 皆言 分限所在에 不陵節而施니 謂不敎幼者 以長者之業也ㅣ라 相觀而善如稱甲之善則 乙者觀而效之乙有善可稱이 甲亦如之라 孫은 以順言이오 摩는 以相厲而進爲言也ㅣ라 ○方氏曰 若七年에 男女ㅣ 不同席不共食하며 幼子를 常視母誑則 可謂之豫也ㅣ오 若十年에 學書計하고 十三年에 舞勺하고 成童에 舞象이 可謂之時矣라 ○石梁王氏曰 註에 專以時로 爲年二十之時는 非也ㅣ라
發然後禁이면 則扞格胡客反而不勝이오 時過然後學이면 則勤苦而難成이오 雜施而不孫이면 則壞亂而不修ㅣ오 獨學而無友ㅣ면 則孤陋而寡聞이오 燕朋은 逆其師ㅣ오 燕辟僻은廢其學이니 此六者ㅣ 敎之所由廢也ㅣ라
扞은 拒扞也ㅣ오 格은 讀如凍冫各之冫各이니 謂如地之凍이 堅强難入也ㅣ오 不勝不能承當其敎也ㅣ니 一讀爲去聲이라 謂敎不能勝其爲非之心이라하니 亦通이라 雜施는 謂躐等陵節也ㅣ오 燕私之朋은 必不責善하고 或相與以慢其師하며 燕遊邪僻은 必惑外誘ㅣ니 得不廢其業乎아 此燕朋燕僻之害ㅣ 皆由於發然後禁以下四者之失이니 皆與上文四者로 相反也ㅣ라 ○ 鄭氏曰 燕은 猶褻也ㅣ니 褻其朋友褻師之譬喩ㅣ라
君子ㅣ 旣知敎之所由興하고 又知敎之所由廢니 然後에야 可以爲人師也ㅣ니 故로 君子之敎喩也는 道而弗牽하며 强而弗抑하며 開而弗達이니 道而弗牽則和ㅣ오 强而弗抑則易異오 開而弗達則思ㅣ니 和易以思면 可謂善喩矣라
示시示之以入道之所由而 不牽率이면 其必進作하야 興其志氣之所尙而 不沮抑之使退하고 開其從入之端而 不竟其所通之地니 如此則不扞格而和ㅣ오 不勤苦而易오 不雜施以亂其心하고 有相觀以輔其志而 思則得之矣라
<3-312>
學者ㅣ 有四失하니 敎者ㅣ 必知之니라 人之學也ㅣ 或失則多하며 或失則寡하며 或失則易異하며 或失則止하나니 此四者ㅣ 心之莫同也ㅣ라 知其心然後에야 能救其失也ㅣ니 敎也者는 長善而救其失者也ㅣ라
方氏曰 或失則多者는 知之所以過ㅣ오 或失則寡者는 愚之所以不及이오 或失則易은 賢者之所以過ㅣ오 或失則止는 不肖者之所以不及이니 多聞見而適乎邪道는 多之失也ㅣ오 寡聞見而無約無卓은 寡之失也ㅣ오 子路는 好勇過我ㅣ나 無所取材는 易之失也ㅣ오 冉求之今女畵은 止之失也ㅣ니 約我以禮는 所以救其失之多ㅣ오 博我以文은 所以救其失之寡ㅣ오 兼人則退之는 所以救其失之易오 退則進之는 所以救其失之止也ㅣ라
<3-313>
善歌者는 使人繼其聲하고 善敎者는 使人繼其志하나니 其言也ㅣ 約而達하며 微而臧하며罕譬而喩면 可謂繼志矣라
約而達은 辭簡而意明也ㅣ오 微而臧은 言不峻而善則明也ㅣ오 罕譬而喩는 比方之辭ㅣ 少而感動之意이 深也ㅣ오 繼志는 謂能使學者之志로 與師無間也ㅣ라
<3-314>
君子ㅣ 知至學之難易하고 而知其美惡然後에야 能博喩ㅣ오 能博喩然後에야 能爲師ㅣ오能爲師然後에야 能爲長이오 能爲長然後에야 能爲君이니 故로 師也者는 所以學爲君也ㅣ라 是故로 擇師는不可不愼也ㅣ니 記에 曰호되 三王四代ㅣ 唯其師라하니 其此之謂乎인저
至學은 至於學也ㅣ니 鈍者는 至之難하고 敏者는 至之易하고 質美者는 向道하고 不美者는 叛道하니 知乎此然後에 能博喩ㅣ니 謂循循善誘하야 不拘一塗也ㅣ라 周官太宰에 長은 以貴得民하고 師는 以賢得民하니 長者는 一官之長이오 君則一國之君也ㅣ니 言爲君之道ㅣ 皆自務學充之라 三王四代之所以治는 以能作之君作之師爾라 周子ㅣ 曰 師道立則善人이 多하고 善人이 多則朝廷이 正而天下ㅣ 治矣라하니라 <3-316>
凡學之道는 嚴師ㅣ 爲難하니 師嚴然後에야 道尊하고 道尊然後에야 民知敬學하나니 是故로 君之所不臣於其臣者ㅣ 二니 當其爲尸하면 則弗臣也하며 當其爲師하면 則弗臣也하나니 大學之禮에 雖詔於天子ㅣ라도 無北面은 所以尊師也ㅣ라
嚴師는 如孝經嚴父之義니 謂尊禮嚴重之也ㅣ라 無北面은 不處之以臣位也ㅣ라 ○石梁王氏曰 詔於天子無北面註에 引武王踐阼하니 出大戴禮하니라 <3-318>
善學者는 師逸而功倍하고 又從而庸之하며 不善學者는 師勤而功半하고 又從而怨之하며 善問者는 如攻堅木이라 先其易者이오 後其節目하야 及其久也하야 相說以解하나니 不善問者는 反此ㅣ니라 善待問者는 如撞鐘이라 叩之以小者則小鳴하고 叩之以大者則大鳴하야 待其從舂容한 然後에 盡其聲이니 不善答問者는 反此ㅣ니 此皆進學之道也ㅣ라
庸용庸은 功也ㅣ니 感師之有功於己也ㅣ오 相說以解는 舊讀說爲悅하나 今從朱子說하야 讀如字ㅣ라 ○ 疏에 曰 從은 讀爲舂者는 舂은 謂擊也ㅣ니 以爲聲之形容이라 言鍾之爲體ㅣ 必待其擊하야 每一舂而爲一容然後에 盡其聲하나니 善答者ㅣ 亦待其一問然後에 一答하야 乃盡說義理也ㅣ라 愚는 謂從容은 言優遊不迫之意니 不急疾擊之則鍾聲之小大長短이 得以自盡이라 故로 以爲善答之喩ㅣ라 ○ 朱子ㅣ 曰 說字는 人以爲悅하나 恐只是說字ㅣ라 先其易者는 難處는 且放下하야 少間에 見多了하면 自然相證而解니 解物도 爲解오 自解釋도 爲解니 恐是相證而曉解也ㅣ라 <3-320>
記問之學은 不足以爲人師ㅣ니 必也其聽語乎인저 力不能問然後에야 語之니 語之而不知면 雖舍之라도 可也ㅣ라
記問은 謂記誦古書하야 以待學者之問也ㅣ니 以此爲學이면 無得於心而所知有限이라 故不足以爲人師ㅣ라 聽語는 聽學者所問之語也ㅣ니 不能問則告之不知면 而舍之는 以其終不可入德也ㅣ니 不以三隅反則不復이 亦此意라
良冶之子ㅣ 必學爲裘하며 良弓之子ㅣ 必學爲箕하며 始駕馬者ㅣ 反之하야 車在馬前하나니 君子ㅣ 察於此三者ㅣ면 可以有志於學矣리라 <3-321>
疏에 曰善冶之家에 其子弟ㅣ 見其父兄의 陶鎔金鐵하야 使之柔合하야 以補治破器라 故로 此子弟ㅣ 能學爲袍裘하야 補續獸皮하야 片片相合하야 以至完全也ㅣ오 箕는 柳箕也ㅣ니 善爲弓之家에 使榦用橈屈하야 調和成弓이라 故로 其子弟ㅣ 亦觀其父兄의 世業하고 學取柳條하야 和軟橈之成箕也ㅣ오 馬子ㅣ 始學駕車之時에 大馬를 駕在車前하고 將馬子하야 繫隨車後而行이라 故로 云反之라 所以然者는 此駒未曾駕車ㅣ어늘 若忽駕之면 必驚奔이라 今以大馬로 牽車於前而 繫駒於後하야 使日日見車之行하야 慣習而後駕之不復駕矣라 言學者亦須先敎小事操縵之屬然後에 乃示其業則易成也ㅣ라 ○應氏曰 冶鑛難精而 裘軟易紉하고 弓勁難調而 箕曲易製하고 車重難駕而 馬反則易馴하니 皆自易而至於難하고 自粗而至於精하야 習之有漸而 不可驟進이오 學之以類而 不可泛求ㅣ니 是之謂有志矣라 <3-323>
古之學者ㅣ 比物醜類하더니 鼓無當於五聲이언마는 五聲이 弗得이면 不和하며 水無當於五色이언마는 五色이 弗得이면 不章하며 學無當於五官이언마는 五官이 弗得이면 不治하며師無當於五服이언마는 五服이 弗得이면 不親이니라
比物醜類는 謂以同類之事로 相比方也ㅣ오 當은 猶主也ㅣ라 鼓聲은 不宮不商하야 於五聲에 本無所主ㅣ나 然而五聲이 不得鼓則無諧和之節하고 水는 無色하야 不在五色之列而 繢畵者ㅣ 不得水則不章明하고 五官은 身口耳目心之所職이니 則洪範之五事也ㅣ니 學於吾身五者之官에 本無所當而 五官이 不得學則 不能治하고 師於弟子에 不當五服之一而 弟子ㅣ 若無師之敎誨則 五服之屬이 不相和親이라 ○陳氏曰 類者는 物之所同이오 醜之爲言은 衆也ㅣ니 理有所不顯則 比物以明之하고 物有所不一則 醜類以盡之然後에 因理以明道而善乎學矣라 總而論之하면 鼓非與乎五聲而 五聲이 待之而和하고 水非與乎五色而 五色이 待之而章하고 學非與乎五官而 五官이 待之而治하고 師非與乎五服而 五服이 待之而親하니 是는 五聲五色五官五服이 雖不同而 同於有之하야 以爲利하고 鼓也水也學也師也 雖不一而 一於無之하야 以爲用이라 然則古之學者ㅣ 比物醜類而 精微之意ㅣ 有寓於是하니 非窮理之至者ㅣ면 孰能與此ㅣ리오
君子ㅣ 曰호되 大德은 不官하고 大道는 不器하고 大信은 不約하고 大時는 不齊니 察於此四者ㅣ면 可以有志於本矣리라 <3-326>
大德大道大信은 皆指聖人而言이오 大時는 天時也ㅣ오 不官은 不拘一職之任也ㅣ오 不器는 無施而不可也ㅣ오 不約은 不在期約之末也ㅣ오 元化周流에 一氣屈伸하야 不可以截然分限으로 求之라 故로 方榮之時而 有枯者焉하며 寂之時而 有專者焉하니 惟其不齊라 是以不可窮이니 凡此四者는 皆以本原盛大而 體無不具ㅣ라 故로 變通不拘而 用無不周也ㅣ니 君子ㅣ 察於此면 可以有志於學而 洪其本矣리라
三王之祭川也에 皆先河而後海하시니 或源也ㅣ며 或委也일새니 此之謂務本이라
河爲海之源이오 海乃河之委ㅣ니 承上文志於本而言 水之爲物이 盈科而後의 進하야 放乎四海하나니 有本者ㅣ 如是也ㅣ라 君子之於學에 不成章이면 不達이라 故로 先務本이라
樂記 第十九
1-1. 凡音之起는 由人心生也ㅣ오 人心之動은 物使之然也ㅣ니 感於物而動이라 故로 形於聲하고 聲相應이라 故로 生變하나니 變成方을 謂之音이오 比音而樂如字之及干戚羽旄를謂之樂이라 <3-329>
凡樂音之初起는 皆由人心之感於物而生하니 人心이 虛靈不昧하야 感而遂通하야 情動於中故로 形於言而爲聲하고 聲之辭意ㅣ 相應하야 自然生淸濁高下之變이라 變而成歌詩之方法을 則謂之音矣니 成方은 猶言成曲調也ㅣ오 比合其音而播之樂器하고 及舞之干戚羽旄를 則謂之樂焉이니 干戚은 武舞也ㅣ오 羽旄는 文舞也ㅣ라
1-2. 樂者는 音之所由生也ㅣ니 其本은 在人心之感於物也ㅣ니라 是故로 其哀心感者는 其聲噍以殺色介反하고 其樂洛心感者는 其聲이嘽昌展反以緩하고 其喜心感者는 其聲이 發以散하고 其怒心感者는 其聲이 粗以厲하고 其敬心感者는 其聲이 直以廉하고 其愛心感者는 其聲이 和以柔하나니 六者는 非性也ㅣ라 感於物而后에 動하나니라
方氏曰 人之情이 得所欲則樂하고 喪所欲則哀하고 順其心則喜하고 逆其心則怒하고 於所畏則敬하고 於所悅則愛라 噍則竭而無澤하고 殺則減而不隆하니 蓋心喪其所欲이라 故形於聲者ㅣ 如此ㅣ니라 嘽則闡而無餘하고 緩則紆而不迫하니 蓋心得其所欲故로 形於聲者ㅣ 如此ㅣ니라 發則生而不窮하고 散則施而無積하니 蓋順其心이라 故로 形於聲者ㅣ 如此ㅣ니라 直則無委曲하고 廉則有分際하니 蓋心有所畏라 故로 形於聲者ㅣ 如此ㅣ니라 和則不乖하고 柔則致順하니 蓋心有所悅이라 故로 形於聲者ㅣ 如此ㅣ니라 ○愚는 謂 粗以厲者는 高急而近於猛暴也ㅣ니 六者는 心感物而動이라 乃情也ㅣ오 非性也ㅣ니 性則喜怒哀樂未發者也ㅣ라
<3-332>
1-3. 是故로 先王이 愼所以感之者하시니 故로 禮以道其志하고 樂以和其聲하고 政以一其行하고 刑以防其姦하니 禮樂刑政이 其極은 一也ㅣ니 所以同民心而出治道也ㅣ니라
劉氏曰 愼은 其政之所以感人心者ㅣ라 故로 以禮而道其志之所行하야 使必中節하고 以樂而和其聲之所言하야 使無乖戾하고 政以敎不能而一其行하고 刑以罰不率而防其姦하니 禮樂刑政四者之事ㅣ 雖殊而其致則 一歸於愼其所以感之者ㅣ니 所以同民心而出治道也ㅣ니라
1-4. 凡音者는 生人心者也ㅣ니 情動於中故로 形於聲하나니 聲成文을 謂之音이니라 是故로 治世之音은 安以樂하니 其政이 和하고 亂世之音은 怨以怒하니 其政이 乖하고 亡國之音은 哀以思하니 其民이 困이니 聲音之道ㅣ 與政通矣니라
此는 言音生於人心之感而 人心哀樂之感이 由於政治之得失이니 此所以愼其所以感之者也ㅣ라 治世에 政事ㅣ 和諧라 故로 形於聲音者ㅣ 安以樂하고 亂世政事ㅣ 乖戾라 故로 形於聲音者ㅣ 怨以怒하고 將亡之國은 其民이 困苦라 故形於聲音者ㅣ 哀以思하니 此ㅣ 聲音所以與政通也ㅣ니라 ○詩疏에 曰 雜比曰 音이오 單出曰聲이니 哀樂之情이 發見於言語之聲이라 於時에 雖言哀樂之事ㅣ나 未有宮商之調하고 惟是聲耳라 至於作詩之時則 次序淸濁하고 節奏高下하야 使五聲爲曲하야 似五色成文하고 卽是爲音이니 此音이 被諸絃管에 乃名爲樂이니라 <3-335>
1-5. 宮爲君이오 商爲臣이오 角爲民이오 徵爲事ㅣ오 羽爲物이니 五者ㅣ 不亂則無怗覘懘昌制反之音矣니라
劉氏曰 五聲之本이 生於黃鐘之律하니 其長이 九寸이오 每九寸九分이니 九九八十一이 是爲宮聲之數ㅣ라 三分損하야 以下生徵하니 則去二十七 得五十四也ㅣ오 徵ㅣ 三分益一하야 以上生商하니 則加十八 得七十二也ㅣ오 商이 三分損一하야 以下生羽하니 則去二十四 得四十八也ㅣ오 羽ㅣ 三分益一하야 以上生角하니 則加十六 得六十四也ㅣ라 角聲之數ㅣ 三分之不盡一筭이라 其數ㅣ 不行故로 聲止於五하니 此其相生之次也ㅣ라 宮은 屬土ㅣ라 絃用八十一絲하니 爲最多而聲至濁하야 於五聲에 獨尊이라 故로 爲君象하고 商은 屬金이라 絃用七十二絲하니 聲次濁이라 故로 次於君而爲臣象하고 角은 屬木이라 絃用六十四絲하니 聲이 半淸半濁하야 居五聲之中이라 故로 次於臣而爲民象하고 徵는 屬火ㅣ라 絃用五十四絲하니 其聲이 淸이라 有民而後에 有事ㅣ니 故로 爲事象하고 羽는 屬水ㅣ라 絃用四十八絲하니 爲最少而聲至淸이라 有事而後에 用物이니 故로 爲物象하니 此其大小之次也ㅣ라 五聲이 固本於黃鐘爲宮이나 然이나 還相爲宮則 其餘十一律이 皆可爲宮이니 宮必爲君而不可下於臣이오 商必爲臣而不可上於君이오 角民徵事羽物이 皆以次降殺하나니 其有臣過君하고 民過臣하고 事過民하고 物過事者則 不用正聲而 以半聲應之하니 此ㅣ 八音所以克諧而 無相奪倫也ㅣ라 然이나 聲音之道ㅣ 與政相通하니 必君臣民事物五者ㅣ 各得其理而不亂則聲音이 和諧而無怗懘也ㅣ니 怗懘者는 敝敗也ㅣ라
1-6. 宮亂則荒하나니 其君이 驕하고 商亂則陂하나니 其官이 壞하고 角亂則憂하나니 其民이 怨하고 徵亂則哀하나니 其事ㅣ 勤하고 羽亂則危하나니 其財ㅣ 匱니 五者ㅣ 皆亂迭하야 相陵을 謂之慢이니 如此ㅣ면 則國之滅亡이 無日矣니라
此는 言審樂以知政이니 若宮亂則樂聲이 荒散하니 是知由其君之驕恣ㅣ 使然也ㅣ라 餘四者ㅣ 例推ㅣ니라 ○ 陳氏曰 五聲이 含君臣民事物之象하니 必得其理라야 方調得律呂ㅣ니 否則有臣陵君民過臣而 謂之奪倫矣라 此ㅣ 却不比漢儒附會效法之言하야 具有此事毫髮不可差하니 設或樂聲이 奪倫이면 卽其國君臣民物이 必有不盡分之事ㅣ라 如州鳩師曠이 皆能以此知彼하니 正是樂與政通이니라
1-7. 鄭衛之音은 亂世之音也ㅣ니 比於慢矣며 桑間濮上之音은 亡國之音也ㅣ니 其政이 散하며 其民이 流하야 誣上行私而不可止也ㅣ니라
此慢字는 承上文謂之慢而言이오 比는 近也라 桑間濮上은 衛地濮水之上 桑林之間也ㅣ라 史記에 言衛靈公이 適晉에 舍濮上이러니夜聞琴聲하고 召師涓하야 聽而寫之하야 至晉에 命涓하야 爲平公奏之한대 師曠이 曰 此ㅣ 師延靡靡之樂이라 武王伐紂에 師延이 投濮水死하니 故聞此聲을 必於濮水之上也ㅣ라하니라 政散故로 民罔其上하고 民流故로 行其淫蕩之私也ㅣ니라 ○張子ㅣ 曰 鄭衛地濱大河하야 沙地土薄故로 其人氣ㅣ 輕浮하고 其地平下故로 其質이 柔弱하고 其地肥饒하야 不費耕耨故로 其人心怠惰하니 其人情性如此ㅣ라 其聲音이 亦然故로 聞其樂이 使人如此懈慢也ㅣ니라 ○朱子ㅣ 曰 鄭聲之淫이 甚於衛라 夫子ㅣ 論爲邦에 獨以鄭聲爲戒하시니 蓋擧重而言也ㅣ시니라
<3-341>
1-8. 凡音者는 生於人心者也ㅣ오 樂者는 通倫理者也ㅣ니 是故로 知聲而不知音者는 禽獸ㅣ是也ㅣ오 知音而不知樂者는 衆庶ㅣ 是也ㅣ니 唯君子ㅣ아 爲能知樂하나니 是故로 審聲以知音하고 審音以知樂하고 審樂以知政하야 而治道ㅣ 備矣니라 是故로 不知聲者는 不可與言音이오 不知音者는 不可與言樂이니 知樂則幾於禮矣니라 禮樂은 皆得을 謂之有德이니 德者는 得也ㅣ라
倫理는 事物之倫類ㅣ 各有其理也ㅣ라 ○方氏曰 凡耳有所聞者ㅣ 皆能知聲하고 心有所識者ㅣ 則能知音하고 道有所通者ㅣ 乃能知樂하나니 若瓠巴ㅣ 鼓瑟에 流魚ㅣ 出聽하고 伯牙ㅣ 鼓琴에 六馬ㅣ 仰秣하니 此ㅣ 禽獸之知聲者也ㅣ오 魏文候ㅣ 好鄭衛之音하고 齊宣王이 好世俗之樂하니 此ㅣ 衆庶之知音者也ㅣ오 若孔子在齊之所聞과 季札聘魯之所觀은 此ㅣ 君子之知樂者也ㅣ니라 ○應氏曰 倫理之中이 皆禮之所寓ㅣ니 知樂則通於禮矣라 不曰通而曰幾者는 辨析精微之極也ㅣ니라 <3-343>
1-9. 是故로 樂之隆이 非極音也ㅣ며 食嗣饗之禮ㅣ 非致味也ㅣ라 淸廟之瑟이 朱弦而疏越하며 壹倡而三歎하야 有遺音者矣며 大饗之禮는 尙玄酒而俎腥魚하며 大泰羹을 不和하야有遺味者矣니 是故로 先王之制禮樂也ㅣ 非以極口腹耳目之欲也ㅣ라 將以敎民平好惡去聲而反人道之正也ㅣ니라
樂之隆盛은 不是爲極聲音之美오 食饗禘祫之重禮는 不是爲極滋味之美니 蓋樂主於移風易俗하고 而祭主於報本反始也ㅣ라 鼓는 淸廟之詩之瑟이니 練朱絲以爲絃하니 絲不練則聲淸하고 練之則聲濁이라 疏는 通也ㅣ오 越은 瑟底之孔也ㅣ니 疏而通之하야 使其聲으로 遲緩이니 瑟聲이 濁而遲는 是質素之聲이오 非要妙之音也ㅣ라 此聲이 初發一倡之時에 僅有三人이 從而和之는 言和者ㅣ 少也ㅣ니 以其非極聲音之美故로 好者ㅣ 少ㅣ나 然이나 而其中則有不盡之餘音이 存焉이라 故로 曰有遺音者矣라하니라 尊은 以玄酒로 爲尙하고 俎는 以生魚로 爲薦하고 太羹은 無滋味之調和하니 是質素之食이라 非人所耆悅之味也ㅣ나 然而其中則 有不盡之餘味存焉이라 故로 曰 有遺味者矣라하니라 由此觀之컨대 是非以極口腹耳目之欲也ㅣ오 敎民平好惡하니 謂不欲其好惡之偏私也ㅣ라 人道不正이 必自好惡不平始하니 好惡이 得其平則 可以復乎人道之正而 風移俗易矣니라 ○朱子ㅣ 曰 一倡而三歎은 謂一人倡而三人和이어늘 今解者ㅣ 以爲三歎息이라하니 非也ㅣ로다 <3-346>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06 | 조선한문선_건-주해-(6) | 운영자2 | 2021.02.12 | 8 |
105 | 조선한문선_건-주해-(5) | 운영자2 | 2021.02.12 | 20 |
104 | 조선한문선_건-주해-(4) | 운영자2 | 2021.02.12 | 2 |
103 | 조선한문선_건-주해-(3) | 운영자2 | 2021.02.12 | 1 |
102 | 조선한문선_건-주해-(2) | 운영자2 | 2021.02.12 | 4 |
101 | 조선한문선_건-주해-(1) | 운영자2 | 2021.02.12 | 4 |
100 | 朝鮮韓文選__坤-(8) | 운영자2 | 2021.02.12 | 4 |
99 | 朝鮮韓文選__坤-(7) | 운영자2 | 2021.02.12 | 2 |
98 | 朝鮮韓文選__坤-(6) | 운영자2 | 2021.02.12 | 1 |
97 | 朝鮮韓文選__坤-(5) | 운영자2 | 2021.02.12 | 1 |
96 | 朝鮮韓文選__坤-(4) | 운영자2 | 2021.02.12 | 1 |
95 | 朝鮮韓文選__坤-(3) | 운영자2 | 2021.02.12 | 3 |
94 | 朝鮮韓文選__坤-(2) | 운영자2 | 2021.02.12 | 3 |
93 | 朝鮮韓文選__坤-(1) | 운영자2 | 2021.02.12 | 2 |
92 | 題金士純屛銘 | 운영자2 | 2021.02.12 | 3 |
91 | 우순_기자에_대하여 | 운영자2 | 2021.02.12 | 3 |
90 | 오륜차서선후론-대경기획수정 | 운영자2 | 2021.02.12 | 7 |
89 | 예기집설주해-학기_악기- (3) | 운영자2 | 2021.02.12 | 5 |
88 | 예기집설주해-학기_악기- (2) | 운영자2 | 2021.02.12 | 5 |
» | 예기집설주해-학기_악기- (1) | 운영자2 | 2021.02.12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