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0. 人生而靜은 天之性也ㅣ오 感於物而動은 性之欲也ㅣ니 物至知知하나니
朱子ㅣ 曰 上知字는 是體오 下知字는 是用이니라
1-11. 然後에 好惡ㅣ 形焉이니 好惡ㅣ 無節於內하야 知誘於外하야 不能反躬하면 天理滅矣니라夫物之感人이 無窮而人之好惡ㅣ 無節이면 則是物至而人化物也ㅣ니 人化物也者는 滅天理而窮人欲者也ㅣ라 於是에 有悖逆詐僞之心하며 有淫泆作亂之事하나니 是故로 强者ㅣ 脅弱하며 衆者ㅣ 暴寡하며 知者ㅣ 詐愚하며 勇者ㅣ苦怯하며 疾病不養하며 老幼孤獨이 不得其所하나니 此ㅣ 大亂之道也ㅣ라
劉氏曰 人生而靜者는 喜怒哀樂未發之中이니 天命之性也ㅣ오 感於物而動則 性發而爲情也ㅣ라 人心이 虛靈知覺하야 事至物來에 則必知之而好惡ㅣ 形焉하고 好善惡惡則 道心之知覺이 原於義理者也ㅣ오 好姸惡醜則 人心之知覺이 發於形氣者也ㅣ라 好惡ㅣ 無節於內而 知誘於外則 是는 道心이 昧而不能爲主宰하고 人心이 危而 物交物則引之矣라 不能反躬하야 以思其理之是非則 人欲이 熾而天理滅矣라 況以無節之好惡로 而接乎無窮之物感則 心爲物役而 違禽獸不遠矣라 違禽獸ㅣ 不遠則 爪剛者ㅣ 決하고 力强者ㅣ 奪하니 此ㅣ 所以爲大亂之道也ㅣ라 <3-349>
1-12. 是故로 先王之制禮樂에 人爲之節하시니 衰麻哭泣은 所以節喪紀也ㅣ오 鐘鼓干戚은 所以和安樂也ㅣ오 昏姻冠笄는 所以別男女也ㅣ오 射鄕食嗣饗은 所以正交接也ㅣ니 禮節民心하며 樂和民聲하며 政以行之하며 刑以防之하야 禮樂刑政이 四達而不悖하면 則王道ㅣ 備矣니라
劉氏曰 先王之制禮樂이 因人情而爲之節文하시니 因其哀死而喪期無數ㅣ라 故로 爲衰麻哭泣之數하야 以節之하고 因其好逸樂而 不能和順於義理라 故로 爲鐘鼓干戚之樂하야 以和之하고 因其有男女之欲而 不知其別이라 故로 爲昏姻冠笄之禮하야 以別之오 因其有交接之事而 或失其正이라 故로 爲射鄕食饗之禮하야 以正之하니 節其心은 所以使之行而 無過不及이오 和其聲은 所以使之言而無所乖戾ㅣ오 爲之政하야 以率其怠倦而 使禮樂之敎로 無不行하고 爲之刑以防其恣肆而 使禮樂之道로 無敢廢하니 禮樂刑政四者ㅣ 通行於天下而 民無悖違之者則 王者之治道ㅣ 備矣니라 <3-352>
1-13. 樂者는 爲同이오 禮者는 爲異니 同則相親하고 異則相敬하나니 樂勝則流하고 禮勝則離라 合情飾貌者ㅣ 禮樂之事也ㅣ라 禮義立하면 則貴賤이 等矣오 樂文이 同則上下和矣오 好惡ㅣ 著則賢不肖ㅣ 別矣오 刑禁暴하고 爵擧賢하면 則政均矣라 仁以愛之하며 義以正之하야 如此則民治行矣니라
和以統同하고 序以辨異니 樂勝則流는 過於同也ㅣ오 禮勝則離는 過於異也ㅣ라 合情者는 樂之和於內니 所以救其離之失이오 飭貌者는 禮之檢於外니 所以救其流之失이니 此ㅣ 禮之義樂之文이 所以相資爲用者也ㅣ라 仁以愛之則 相敬而 不至於離하고 義以正之則 相親而 不至於流이니 此ㅣ 又以仁義로 爲禮樂之輔者也ㅣ라 等貴賤 和上下 別賢不肖 均政 此四者는 皆所以行民之治니 故로 曰 民治行矣니라 ○ 應氏曰 上言王道備는 言其爲治之具也ㅣ오 此言民治行은 言其爲治之效ㅣ라 <3-354>
1-14. 樂由中出하고 禮自外作하나니 樂由中出故로 靜하고 禮自外作故로 文하니 大樂은 必易하고 大禮는 必簡하고 樂至則無怨하고 禮至則不爭이라 揖讓而治天下者는 禮樂之謂也ㅣ라 暴民이 不作하며 諸侯ㅣ 賓服하야 兵革을不試하며 五刑을 不用하며 百姓이 無患하며天子ㅣ 不怒하니 如此ㅣ면 則樂達矣오 合父子之親하며 明長幼之序하야 以敬四海之內니 天子ㅣ 如此ㅣ면 則禮行矣니라
應氏ㅣ 謂四海之內四字ㅣ 恐在合字上이라하니 如此則文理爲順이로다 ○ 劉氏曰 欣喜歡愛之和는 出於中이오 進退周旋之序는 著於外니 和則情意安舒故로 靜이오 序則威儀交錯故로 文이라 大樂與天地同和는 如乾以易知而不勞ㅣ오 大禮與天地同節은 如坤以簡能而不煩이라 樂至則人皆得其所而無怨이오 禮至則人各安其分而不爭이니 如帝世에 揖讓而天下治者는 禮樂之至也ㅣ라 達者는 徹於彼之謂오 行者는 出於此之謂니 行者는 達之本이오 達者는 行之效ㅣ라 天子ㅣ 自能合其父子之親하며 明其長幼之序則 家齊族睦矣오 又能親吾親以及人之親하며 長吾長以及人之長이면 是謂以敬四海之內니 則禮之本이 立而用行矣라 禮之用이 行而後에 樂之效達이라 故로 於樂에 但言天子ㅣ 無可怒者而於禮則言天子ㅣ 如此ㅣ라하니 是는 樂之達이 乃天子行禮之效也ㅣ라 周子曰 萬物各得其理而後에 和故로 禮先而樂後이라하니 是也ㅣ라 <3-357>
2. 大樂은 與天地同和하고 大禮는 與天地同節하니 和故로 百物이 不失하며 節故로 祀天祭地하나니 明則有禮樂하고 幽則有鬼神하니 如此ㅣ면 則四海之內ㅣ 合敬同愛矣니라 禮者는 殊事合敬者也ㅣ오 樂者는 異文合愛者也ㅣ니 禮樂之情同이라 故로 明王以相沿也하시니 故로 事與時並하며 名與功偕니라
百物不失은 言各遂其性也ㅣ라 ○ 朱子ㅣ 曰 禮主減이오 樂主盈이니 鬼神亦止是屈伸之義라 禮樂鬼神이 一理니라 又曰 在聖人制作處는 便是禮樂이오 在造化功用處는 便是鬼神이라 禮有經禮曲禮之事殊而敬一이오 樂有五聲六律之文異而愛一이니 所以能使四海之內로 合敬同愛者는 皆大樂大禮之所感化也ㅣ라 禮樂之制ㅣ 在明王에 雖有損益而 情之同者則 相因述也ㅣ 惟其如此ㅣ라 是以로 王者ㅣ 作興에 事興時並이니 如唐虞之時則 有揖讓之事하고 夏殷之時則 有放伐之事ㅣ라 名與功偕者는 功成作樂故로 歷代樂名이 皆因所立之功而名之也ㅣ라 ○ 蔡氏曰 禮樂이 本非判然二物也ㅣ라 人이 徒見樂由陽來하며 禮由陰作하고 卽以爲禮屬陰樂屬陽하야 判然爲二라하나니라 殊不知陰陽이 一氣也ㅣ라 陰氣流行이 卽爲陽이오 陽氣凝聚ㅣ 卽爲陰이니 非眞有二物也ㅣ라 禮樂이 亦止是一理니 禮之和ㅣ 卽是樂이오 樂之節이 卽是禮니 亦非二物也ㅣ라 善觀者ㅣ 旣知陰陽禮樂之所以爲二하고 又知陰陽禮樂之所以爲一則 達禮樂之體用矣리라 <3-360>
3. 故로 鐘鼓管磬과 羽籥干戚은 樂之器也ㅣ오 屈伸俯仰과 綴掘兆舒疾은 樂之文也ㅣ라 簠簋俎豆와 制度文章은 禮之器也ㅣ오 升降上下와 周還裼襲은 禮之文也ㅣ니 故로 知禮樂之情者는 能作하고 識禮樂之文者는 能述하나니 作者之謂聖이오 述者之謂明이니 明聖者는 述作之謂也ㅣ라
綴은 舞者行位ㅣ 相連綴也ㅣ오 兆는 位外之營兆也ㅣ라 裼襲은 說見曲禮하니라 情은 謂理趣之深奧者ㅣ니 知之悉故로 能作이오 文은 謂節奏之宣著者ㅣ니 識之詳故로 能述이라 若黃帝堯舜之造律呂垂衣裳과 禹湯文武之不相沿襲이 皆聖者之作也ㅣ오 周公經制에 盡取先代之禮樂而參用之하니 兼聖明之作述也ㅣ오 季札이 觀樂而各有所論하니 此ㅣ 明者之述也ㅣ라 夫子之聖은 乃述而不作者ㅣ니 有其德이 無其位故耳니라
<3-362>
4-1. 樂者는 天地之和也ㅣ오 禮者는 天地之序也ㅣ니 和故로 百物이 皆化하고 序故로 羣物이 皆別하나니라 樂由天作하고 禮以地制하니 過制則亂하고 過作則暴하나니 明於天地然後에야 能興禮樂也ㅣ니라
朱子ㅣ 曰 樂은 由天作하니 屬陽故로 有運動底意하고 禮는 以地制하니 如由地出하야 不可移易이라 ○ 劉氏曰 前言大樂與天地同和 大禮與天地同節은 以成功之所合而言也ㅣ오 此言樂者天地之和 禮者天地之序는 以效法之所本而言也ㅣ라 蓋聖人之禮樂이 與天地之陰陽으로 相爲流通故로 始也에 法陰陽以爲禮樂하고 終也에 以禮樂而贊陰陽이라 天地之和는 陽之動而生物者也ㅣ니 氣行而不乖故로 百物이 皆化하고 天地之序는 陰之靜而成物者也ㅣ니 質具而有秩故로 群物이 皆別이라 樂由天作者는 法乎氣之行於天者而作故로 動而屬陽하니 聲音은 氣之爲也ㅣ오 禮以地制者는 法乎質之具於地者而制故로 靜而屬陰하니 儀則은 質之爲也ㅣ라 過制則失其序는 如陰過而肅則 物之成者ㅣ 復壞矣라 故로 亂이오 過作則失其和는 如陽過而亢則 物之生者ㅣ 反傷矣라 故로 暴이니 明乎天地之和與序然後에 能興禮樂하야 以贊化育也ㅣ니라 <3-364>
4-2. 論倫無患은 樂之情也ㅣ오
方氏曰 金石聲音은 特樂而已어늘 亦統以禮爲言者는 凡行禮然後에 用樂이니 用樂以成禮오 未有用樂而 不爲行禮者也ㅣ라 情官質制者는 禮樂之義也ㅣ오 金石聲音者는 禮樂之數也ㅣ니 其數를 可陳則民之所同이오 其義를 難知則君之所獨이라 故로 於金石聲音에 曰 此所與民同也ㅣ니라 ○劉氏曰 論者는 雅頌之辭ㅣ오 倫者는 律呂之音이니 惟其辭足論而音有倫이라 故로 極其和而無患害하니 此ㅣ 樂之本情也ㅣ오 而在人者則 以欣喜歡愛로 爲作樂之主焉이며 中者는 行之無過不及이오 正者는 立之不偏不倚니 惟其立之正而 行之中이라 故로 得其序而 無邪僻하니 此는 禮之本質也ㅣ라 而在人者則 以莊敬恭順으로 爲行禮之制焉이니 此ㅣ 聖賢君子之所獨知也ㅣ라 若夫施之器而播之聲하야 以事乎鬼神者則 衆人之所共和者也ㅣ니라
<3-367>
5. 王者ㅣ 功成作樂하시고 治定制禮하시나니 其功이 大者는 其樂이 備하고 其治辯徧者는 其禮ㅣ 具하니 干戚之舞ㅣ 非備樂也ㅣ며 孰亨烹而祀ㅣ 非達禮也ㅣ라 五帝ㅣ 殊時라 不相沿樂하시고 三王이 異世라 不相襲禮하시니 樂極則憂오 禮粗則偏矣니 及夫敦樂而無憂하고 禮備而不偏者는 其唯大聖乎인저
干戚之舞는 武舞也ㅣ라 不如韶樂之盡善盡美故로 云非備樂也ㅣ오 熟烹牲體而薦이 不如古者血腥之祭ㅣ 爲得禮意故로 云非達禮也ㅣ라 若奏樂而 欲極其聲音之娛樂則 樂極悲來故로 云樂極則憂ㅣ오 行禮粗略而 不能詳審則 節文之儀ㅣ 必有偏失而 不擧者故로 云禮粗則偏矣니 惟大聖人則 道全德備하야 雖敦厚於樂而 無樂極悲來之憂하고 其禮儀備具而 無偏粗之失也ㅣ니라
<3-368>
6-1. 天高地下하며 萬物이 散殊而禮制行矣오 流而不息하며 合同而化而樂이 興焉하니 春作夏長은 仁也ㅣ오 秋斂冬藏은 義也ㅣ니 仁近於樂하고 義近於禮하니라 樂者는 敦和하야 率神而從天하고 禮者는 別宜하야 居鬼而從地하나니 故로 聖人이 作樂以應天하고 制禮以配地하시니 禮樂이 明備라 天地官矣니라
物各賦物而 不可以强同이니 此는 造化ㅣ 示人以自然之禮制也ㅣ오 絪縕化醇而 不容以獨異니 此는 造化示人以自然之樂情也ㅣ라 合同者는 春夏之仁이니 故로 曰 仁近於樂이오 散殊者는 秋冬之義니 故로 曰義近於禮라 敦和는 厚其氣之同者ㅣ오 別宜는 辨其物之異者ㅣ라 率神은 所以循其氣之伸이오 居鬼는 所以歛其氣之屈이니 伸陽而從天이오 屈陰而從地也ㅣ라 由是言之則 聖人禮樂之精微ㅣ 寓於制作者ㅣ 旣明且備를 可得而知矣라 官은 猶主也ㅣ니 言天之生物地之成物이 各得其職也ㅣ라 ○ 劉氏曰 此는 申明禮者天地之序 樂者天地之和ㅣ라 高下散殊者는 質之具ㅣ니 天地自然之序也而 聖人이 法之則禮制ㅣ 行矣오 周流同化者는 氣之行이니 天地自然之和也而 聖人이 法之則 樂이 興焉이라 春作夏長은 天地生物之仁也ㅣ니 氣行而同和故로 近於樂이오 秋斂冬藏은 天地成物之義也ㅣ니 質具而異序故로 近於禮라 此는 言效法之所本也ㅣ라 敦和者는 厚其氣之同이오 別宜者는 辨其質之異라 神者는 陽之靈이오 鬼者는 陰之靈이니 率神以從天者는 達其氣之伸而 行於天하고 居鬼而從地者는 斂其氣之屈而 具於地라 蓋樂은 可以敦厚天地之和而 發達乎陽之所生이오 禮는 可以辨別天地之宜而 安定乎陰之所成이니 故로 聖人이 作樂하사 以應助天之生物하시고 制禮하사 以配合地之成物하시니 禮樂之制作이 旣明且備則 足以裁成其道輔相其宜而 天之生地之成이 各得其職矣라 此는 言成功之所合也ㅣ라 <3-371>
6-2. 天尊地卑하니 君臣이 定矣오 卑高已陳하니貴賤이 位矣오 動靜有常하니 小大殊矣오 方以類聚하며 物以羣分하니 則性命이 不同矣니 在天成象하고 在地成形하니 如此則禮者ㅣ 天地之別也ㅣ라
此ㅣ 與易繫辭로 略同하니 記者ㅣ 引之하야 言聖人制禮ㅣ 其本於天地自然之理者ㅣ 如此하니라 定君臣之禮者는 取於天地尊卑之勢也ㅣ오 列貴賤之位者는 取於山澤卑高之勢也ㅣ오 小者를 不可爲大하며 大者를 不可爲小ㅣ니 故小大之殊는 取於陰陽動靜之常也ㅣ라 此小大는 如論語小大由之之義니 謂小事大事也ㅣ라 方은 猶道也ㅣ오 聚는 猶處也ㅣ라 君臣父子夫婦長幼朋友ㅣ 各有其道則 各以其類而處之니 所謂方以類聚也ㅣ라 物은 事也ㅣ니 行禮之事는 卽謂天理之節文 人事之儀則이라 行之不止一端이오 分之必各從其事ㅣ니 所謂物以羣分也ㅣ라 所以然者는 以天所賦之命 人所受之性이 自然有此三綱五常之倫이니 其間尊卑厚薄之等을 不容混而一之也ㅣ라 故로 曰性命不同矣라 在天成象은 如衣與旗常之章이 著爲日月星辰之常也ㅣ오 在地成形은 如宮室器具ㅣ 各有高卑大小之制니 是는 取法於地也ㅣ라 由此言之컨대 禮之有別이 非天地自然之理乎아 ○ 應氏曰 此ㅣ 卽所謂天高地下 萬物散殊而 禮制行矣니라 ○劉氏曰此는 又申言禮者天地之存也ㅣ라 天地萬物이 各有動靜之常하야 大者ㅣ 有大動靜하고 小者ㅣ 有小動靜하고 則小大之事ㅣ 法之而久近之期殊矣니라 方以類聚는 言中國蠻夷戎狄之民이 各以類而聚오 物以羣分은 言飛潛動植之物이 各以羣而分이니 則以其各正性命之不同也ㅣ라 故로 聖人이 亦因之而 異其禮矣니라 在天成象則 日月星辰之曆數ㅣ 各有其序하고 在地成形則 山川人物之等倫이 各有其儀하니 由此言之則 禮者는 豈非天地之別乎아
6-3. 地氣는 上齊躋하고 天氣는 下降하며 陰陽이 相摩하며 天地相蕩하며 鼓之以雷霆하며 奮之以風雨하며 動之以四時하며 煖暄之以日月하야 而百化興焉하나니 如此ㅣ면 則樂者ㅣ 天地之和也ㅣ라
應氏曰 此ㅣ 卽所謂流而 不息合同而 化而樂興焉이니라 ○劉氏曰 此는 申言樂者天地之和也ㅣ라 齊는 讀爲躋라 天地相蕩은 亦言其氣之播蕩也ㅣ라 百化興焉은 所謂天地絪縕而 萬物化醇也ㅣ라 以上은 言效法之所本이니라
6-4. 化不時하면 則不生하고 男女ㅣ 無辨하면 則亂升하나니 天地之情也ㅣ라
此는 言禮樂之得失이 與天地相關이니 所謂和氣致祥 乖氣致異也ㅣ라 總結上文兩節之意하니라
6-5. 及夫禮樂之極乎天而蟠乎地하며 行乎陰陽而通乎鬼神하며 窮高極遠而測深厚하얀 樂著直略切太始하고 而禮居成物하니 著如字不息者는 天也ㅣ오 著不動者는 地也ㅣ오 一動一靜者는 天地之間也ㅣ니 故로聖人이 曰禮樂云이라하시니라 <3-377>
朱子ㅣ 曰 乾知太始오 坤作成物이니 知者는 管也ㅣ니라 乾이 管却太始하니 太始는 卽物生之始라 乾始物而坤成之也ㅣ니라 ○應氏曰 及은 至也ㅣ라 言樂出於自然之和하고 禮出於自然之序하니 二者之用이 充塞流行하야 無顯不至하고 無幽不格하고 無高不届하니 無深不入則 樂著乎乾知太始之初하고 禮居乎坤作成物之位而 昭著不息者는 天之所以爲天이오 昭著不動者는 地之所以爲地니 著不動者는 藏諸用也ㅣ오 著不息者는 顯諸仁也ㅣ라 天地之間에 不過一動一靜而已라 故로 聖人昭揭以示人而 名之曰 禮樂也ㅣ니라 或曰 不息不動은 分著於天地而 一動一靜하야 循環無端者 天地之間也ㅣ라 動靜이 不可相離則 禮樂이 不容或分故로 聖人이 言禮樂애 必合而言之하시고 未嘗析而言之也ㅣ라 以上言成功之所合이니라 ○劉氏曰 自一陽이 生於子로 至六陽이 極於巳而 爲乾이니 此는 乾知太始也ㅣ오 自一陰이 生於午로 知六陰이 極於亥而 爲坤이니 此는 坤作成物也ㅣ라 又乾坤이 交於否泰하니 一歲則正月이 泰오 二壯三夬四乾五姤六遯이 皆有乾以統陰하고 是乾主春夏也ㅣ오 七月否오 八觀九剝十坤子復丑臨이 皆有坤以統陽하니 是坤主秋冬也ㅣ라
7. 昔者에 舜이 作五弦之琴하사 以歌南風하야시늘 夔ㅣ 始制樂하야 以賞諸侯하니 故로 天子之爲樂也는 以賞諸侯之有德者也ㅣ니 德盛而敎尊하며 五穀이 時熟然後에야 賞之以樂하더니 故로 其治民이 勞者는 其舞行杭綴拙이遠하고 其治民이 逸者는 其舞行綴이 短하나니 故로 觀其舞하고 知其德하며 聞其謚하고 知其行也ㅣ니라
應氏曰 勤於治民則 德盛而樂隆이라 故로 舞列이 遠而長하고 怠於治民則 德薄而樂殺ㅣ라 故로 舞列이 近而短이라 ○징하는 괘. [易 姤卦] 姤遇也 柔遇剛也‘ 石梁王氏曰 夔ㅣ 制樂이 豈專爲賞諸侯ㅣ리오 此處에 皆無義理니라 <3-380>
8-1. 大章은 章之也ㅣ오 咸池는 備矣오 韶는 繼也ㅣ오 夏는 大也ㅣ오 殷周之樂은 盡矣니라
疏에 曰堯樂을 謂之大章者는 言堯德이 章明於天下也ㅣ오 咸은 皆也ㅣ오 池은 施也ㅣ니 黃帝ㅣ 樂名을 咸池니 言德皆施被於天下하야 無不周하니 徧是爲備具矣오 韶는 繼也者는 言舜之道德이 繼紹於堯也ㅣ오 夏는 大也ㅣ니 禹樂名이니 夏者는 言能廣大堯舜之德也ㅣ오 殷周之樂은 殷周之樂은 謂湯之大濩와 武王之大武也ㅣ니 盡矣는 言於人事에 盡極矣라 小註 石林葉氏曰 咸池言備者는 德之全也ㅣ오 殷周言盡者는 聲之極也ㅣ라
8-2. 天地之道는 寒暑ㅣ 不時則疾하고 風雨ㅣ 不節則饑하나니 敎者는 民之寒暑也ㅣ라 敎不時則傷世하고 事者는 民之風雨也ㅣ라 事不節則無功하나니 然則先王之爲樂也는 以法治也ㅣ니 善則行이 象德矣니라 <3-382>
寒暑者는 一歲之分劑ㅣ오 風雨者는 一旦之氣候ㅣ니 敎重而事輕이라 故로 以寒暑로 喩敎而以風雨로 喩事也ㅣ라 然則先王之制禮樂에 事皆有敎하니 是는 法天地之道하야 以爲治於天下也ㅣ라 施於政治而 無不善則 民之行이 象君之德矣라
9. 夫豢豕爲酒는 非以爲禍也ㅣ로 대而獄訟이 益繁은 則酒之流ㅣ 生禍也ㅣ라 是故로 先王이 因爲酒禮호대 壹獻之禮에 賓主ㅣ 百拜하야 終日飮酒而不得醉焉케하시니 此ㅣ 先王之所以備酒禍也ㅣ라 故로 酒食者는 所以合歡也ㅣ오 樂者는 所以象德也ㅣ오 禮者는 所以綴拙淫也ㅣ니 是故로 先王이 有大事ㅣ어든必有禮以哀之하고 有大福이어든 必有禮以樂之하나니 哀樂之分에 皆以禮終하니 樂也者는 聖人之所樂洛也ㅣ니 而可以善民心이라其感人이 深하야 其移風易俗이니 故로 先王이 著其敎焉하시니라 <3-383>
一獻之禮는 士之饗禮ㅣ 惟一獻也ㅣ라 綴은 止也ㅣ오 大事는 死喪之事也ㅣ오 大福은 吉慶之事也ㅣ니 以大福對大事而言則 大事爲禍矣오 哀樂을 皆以禮終則 不至於過哀過樂矣라 此章에 言禮處多而 末亦云樂者는 明禮樂이 非二用也ㅣ라 應氏ㅣ 本漢志하야 俗下에 增易字하니 音에 以鼓反이라 ○疏에 曰 按鄕飮酒之禮는 是一獻에 無百拜하니 此云百拜는 喩多也ㅣ라
10-1. 夫民이 有血氣心知之性하고 而無哀樂喜怒之常하야 應感起物而動이라 然後에야 心術이 形焉하나니 是故로 志微噍殺之音이 作하면 而民思憂하고
劉氏曰 此는 申言篇首에 音之生이 本在人心之感於物也ㅣ 一條之義라 民心無常而 喜怒哀樂之情이 應其感 起於物者而 動然後에 其心術이 形於聲音矣라 故로 采詩에 可以觀民風이오 審樂에 可以知國定也ㅣ라 志는 疑當作急하니 急은 促이오 微는 細오 噍는 枯ㅣ오 殺는 減이니 其哀心感者는 其聲噍以殺라 故로 作樂而 有急微噍殺之音則 其民心之哀思憂愁를 可知矣라
10-2. 嘽昌展切諧慢易繁文簡節之音이 作이면 而民이康樂하고
嘽은 寬이오 諧는 和ㅣ오 慢은 緩이오 易는 平也ㅣ오 繁文簡節은 多文理而 略節奏ㅣ니 其樂心感者는 其聲이 嘽以緩이라 故로 此等音이 作則 其民心之安樂을 可知矣라 <3-386>
10-3. 粗厲猛起奮末廣賁扶粉切之音이 作하면 而民이 剛毅하고 <3-386>
粗厲는 粗疎嚴厲也ㅣ오 猛은 威盛貌ㅣ오 奮은 振迅貌ㅣ오 起는 初ㅣ오 末은 終也ㅣ니 猛起奮末者는 猛盛於初起而 奮振於終末也ㅣ오 廣은 大오 賁은 憤也ㅣ니 廣憤은 言中間絲竹匏土革木之音이 皆怒也ㅣ라 其怒心感者는 其聲이 粗以厲故로 此等音이 作則 可知其民之剛毅라
10-4. 廉直勁正莊誠之音이 作하면 而民이 肅敬하고
廉은 有稜隅也ㅣ오 勁은 堅强也ㅣ니 其敬心感者는 其聲이 直以廉이라 故로 此等音이 作則 可知其民之肅敬이라
10-5. 寬裕肉而救切好順成和動之音이 作하면 而民이 慈愛하고 <3-387>
考工記註에 云 好는 璧孔也ㅣ니 肉倍好曰 璧이오 好倍肉曰 瑗이오 肉好均曰 環이니 如此則 肉은 乃璧之肉地也ㅣ라 此言肉好則 以璧으로 喩樂音之圓瑩通滑耳라 其愛心感者는 其聲이 和以柔ㅣ라 故로 此等音이 作則 知其民之慈愛ㅣ라
10-6. 流辟僻邪散狄他歷切成滌濫之音이 作하면 而民이 淫亂이니라
狄은 與逖으로 同하니 遠이라 成者는 樂之一終이니 狄成은 言其一終이 其長이니 淫泆之意也ㅣ라 滌은 洗也ㅣ오 濫은 侵僣也ㅣ니 言其音之泛濫侵僣이 如以水洗物而 浸漬侵濫하야 無分際也ㅣ니 此ㅣ 是其喜心感者而 其聲이 然也ㅣ라 故로 聞此音之作則 其民之淫亂을 可知矣니라
11-1. 是故로 先王이 本之情性하며 稽之度數하시며制之禮義하시며 合生氣之和하시며 道五常之行하야 使之陽而不散하며 陰而不密하며 剛氣不怒하며 柔氣不懾하야 四暢交於中而發作於外하야 皆安其位而不相奪也然後에야 立之學等하야 廣其節奏하며 省其文采하야 以繩德厚하야 律小大之稱하며 比終始之序하야 以象事行하야 使親疏貴賤長幼男女之理ㅣ 皆形見現於樂하니 故로 曰樂觀이 其深矣니라 <3-389>
此는 承上文聲音之應感而 言本之情性은 卽民有血氣心知之性과 喜怒哀樂之情也ㅣ오 度數는 十二律이 上生下生損益之數也ㅣ오 禮義는 貴賤隆殺淸濁高下ㅣ 各有其義也ㅣ오 生氣之和는 造化發育之妙也ㅣ오 五常之行은 仁義禮知信之德也ㅣ니 言聖人之作樂이 本於人心七情所感之音而 稽考於五聲十二律之度數而 制之以淸濁高下尊卑隆殺之節而 各得其宜然後에 用之以合天地生氣之和而 使其陽之動而 不至於散하며 陰之靜而 不至於密하여 道人心五常之行而 使剛者之氣로 不至於怒하며 柔者之氣로 不至於懾하야 天地之陰陽과 人心之剛柔四者ㅣ 各得其中而 和暢焉則 交暢於中而 發形於外하야 於是 宮君商臣角民徵事羽物이 皆安其位而 不相奪倫也ㅣ라 此는 言聖人이 始因人情而作樂하사 有度數禮義之詳而 以之和天地之氣하며 平天下之情하야 及天氣人情이 感而大和焉則 樂無怗懘之音矣라 然後에 推樂之敎하야 以化民成俗也ㅣ라 立之學은 若樂師ㅣ 掌國學之政하고 大胥ㅣ 掌學士之版이 是也ㅣ오 立之等은 若十三舞勺 成童舞象之類ㅣ 是也ㅣ라 廣其節奏는 增益學者之所習也ㅣ오 省其文采는 省察其音曲之辭하야 使五聲之相和相應으로 若五色之雜以成文采也ㅣ오 厚는 如書에 惟民生厚之厚ㅣ니 以繩德厚는 謂檢約其固有之善而 使之成德也ㅣ오 律은 以法度로 整齊之也ㅣ오 比는 以次序로 聯合之也ㅣ니 宮音은 至大하고 羽音은 至小하니 律之使各得其稱이 始於黃鍾之初九하야 終於仲呂之上六하야 比之使各得其序하야 以此法象而 寓其事之所行하니 如宮爲君에 宮亂則荒之類ㅣ라 故曰以象事行也ㅣ라 人倫之理其得失이 皆可於樂而見之니 是는 樂之所觀이 其義深奧矣라 此는 古有是言에 記者ㅣ 引以爲證이라
11-2. 土敝則草木이 不長하고 水煩則魚鼈이 不大하고 氣衰則生物이 不遂하고 世亂則禮慝而樂淫하나니 是故로 其聲이 哀而不莊하며 樂而不安하며 慢易以犯節하며 流湎以忘本하야廣則容姦하고 狹則思欲하야 感條暢之氣하고滅平和之德하나니 是以로 君子ㅣ 賤之也하나니라
土敝는 地力이 竭也ㅣ라 故로 草木이 不長하고 水煩은 謂澤梁之入이 無時하야 水煩擾而魚鼈이 不得自如ㅣ라 故로 不大也ㅣ오 物類之生이 必資陰陽之氣하니 氣衰耗ㅣ라 故로 生物이 不得成遂也ㅣ니 此三句는 皆以喩世道ㅣ 衰亂에 上下ㅣ 無常이라 故로 禮慝하고 男女ㅣ 無節이라 故로 樂淫也ㅣ니 樂淫이라 故로 哀而不莊하고 樂而不安하니 若關雎則 樂而不淫하며 哀而不傷하고 禮慝이라 故로 慢易以犯節하고 流湎以忘本也ㅣ라 廣은 猶大也ㅣ오 狹은 猶小也ㅣ니 言淫樂慝禮ㅣ 大則使人容爲姦宄하고 小則使人思爲貪欲하야 感傷天地條暢之氣하고 滅敗人心和平之德하니 是以로 君子ㅣ 賤之而不用也ㅣ라 感或作蹙하니 感條暢之氣則與合生氣之和者로 反矣오 滅平和之德則 與道五常之行者로 異矣라
12-1. 凡姦聲이 感人而逆氣應之하고 逆氣成象而淫樂이 興焉하며 正聲이 感人而順氣應之하고 順氣成象而和樂興焉하나니 倡和有應하야回邪曲直이 各歸其分而萬物之理ㅣ 各以類로 相動也ㅣ니라
疏에 曰倡和有應者는 姦聲正聲感人이 是倡也而 逆氣順氣應之ㅣ 是和也ㅣ라 回는 謂乖違오 邪는 謂邪僻이니 及曲之與直이 各歸其善惡之分限하야 善歸善分하고 惡歸惡分而 萬物之情理ㅣ 亦各以善惡之類로 自相感動也ㅣ라 ○應氏曰 聲感於微而 氣之所應者ㅣ 甚速하고 氣應於微而 象之所成者ㅣ 甚著하니 成象則 有形而可見이니 見을 乃謂之象也ㅣ라 各歸其分者는 所謂樂之道ㅣ 歸焉耳라
12-2. 是故로 君子ㅣ 反情하야 以和其志하고 比類하야 以成其行하야 姦聲亂色을 不留聰明하며 淫樂慝禮를 不接心術하며 惰慢邪辟之氣를不設於身體하야 使耳目鼻口心知百體ㅣ 皆由順正하야 以行其義하나니 (3-398)
反情은 復其情性之正也ㅣ니 情不失其正則 志無不和ㅣ라 比類는 分次善惡之類也ㅣ니 不入於惡類則行 無不成이라 曰不留不接不設은 如論語에 四勿之謂니 皆反情比類之事ㅣ라 如此則 百體從令而 義之與比矣리니 此一節은 乃學者 修身之要法이니라
12-3. 然後에야 發以聲音而文以琴瑟하며 動以干戚하며 飾以羽旄하며 從以簫管하야 奮至德之光하며 動四氣之和하야 以著萬物之理하나니 是故로 淸明은 象天하고 廣大는 象地하고終始는 象四時하고 周還旋은 象風雨하니 五色이 成文而不亂하며 八風이 從律而不姦하며 百度ㅣ 得數而有常하나니 小大相成하며 終始相生하며 倡和淸濁이 迭相爲經하나니 故로 樂行而倫淸하야 耳目이 聰明하며 血氣和平하고 移風易俗하야 天下皆寧하나니라 <3-399>
大章之章과 咸池之備와 韶之繼는 皆聖人極至之德이 發於樂者ㅣ 其輝光을 猶若可見也ㅣ라 書에 言光被四表하며 光天之下는 皆所謂至德之光也ㅣ라 四氣之和는 四時之和氣也ㅣ오 小大終始는 卽前章小大之稱과 終始之序也ㅣ오 迭相爲經은 卽前篇還相爲宮之說也ㅣ라 ○ 疏에 曰 八風은 八方之風也ㅣ오 律은 十二月之律也ㅣ라 距冬至四十五日에 條風이 至하니 條者는 生也ㅣ오 四十五日에 明庶風이 至하니 明庶者는 迎衆也ㅣ오 四十五日에 淸明風이 至하니 淸明者는 芒也ㅣ오 四十五日에 景風이 至하니 景者는 大也ㅣ니 言陽氣ㅣ 長養也ㅣ오 四十五日에 凉風이 至하니 凉은 寒也ㅣ니 陰氣ㅣ 行也ㅣ오 四十五日에 閶闔風이 至하니 閶闔者는 咸收藏也ㅣ니 四十五日에 不周風이 至하니 不周者는 不交也ㅣ니 言陰氣ㅣ 未合化也ㅣ오 四十五日에 廣莫風이 至하니 廣莫者는 大莫也ㅣ니 開陽氣也ㅣ라 ○方氏曰 淸明者는 樂之聲이라 故로 象天하고 廣大者는 樂之體라 故로 象地하고 終始者는 樂之序ㅣ라 故로 象四時하고 周還者는 樂之節이라 故로 象氣雨ㅣ라 ○應氏曰 五聲은 配乎五行之色이라 故로 各成文而不亂하고 八音은 配乎八卦之風이라 故로 各從律而不姦하니 自一度로 衍之而 至於百則百度ㅣ 各得其數ㅣ 猶八卦 至於六十四而 其變이 無窮也ㅣ라 大而日月星辰之度ㅣ오 小而百工器物之度ㅣ 各有數焉하니 不止晝夜之百刻也ㅣ라 曰不亂不姦으로 以至有常은 言其常而不紊也ㅣ오 曰相成相生으로 以至迭相爲經은 言其變而不窮也ㅣ니 順其常則 能極其變矣라
13. 故로 曰樂者는 樂也ㅣ니 君子는 樂得其道하고 小人은 樂得其欲하나니 以道制欲하면 則樂而不亂하고 以欲忘道하면 則惑而不樂하나니라 <3-403>
君子之樂道는 猶小人之樂欲이라 君子는 以道制欲故로 坦蕩蕩하고 小人은 徇欲忘道故로 長戚戚이니라
14-1. 是故로 君子는 反情하야 以和其志하고 廣樂하야 以成其敎하나니 樂行而民이 鄕方이면 可以觀德矣니라
承上文而言 所以君子ㅣ 復情和志하야 以修其身하며 廣樂成敎하야 以治乎民하야 及樂之敎行而 民知向道則 可以觀君子之德矣라
14-2. 德者는 性之端也ㅣ오 樂者는 德之華也ㅣ오 金石絲竹은 樂之器也ㅣ라 詩는 言其志也ㅣ오 歌는 詠其聲也ㅣ오 舞는 動其容也ㅣ니 三者ㅣ 本於心然後에 樂器從之하나니 是故로 情深而文明하고 氣盛而化神이라 和順이 積中하야 而英華發外하나니 唯樂은 不可以爲僞니라 <3-405>
石梁王氏曰 註에 以志聲容三者로 爲本은 非也ㅣ라 德有心爲本이오 性은 又德之本이니 然後에 詩歌舞三者ㅣ 出焉이라 ○劉氏曰 性之端은 和順積中者也ㅣ오 德之華는 英華發外者也ㅣ오 三者는 謂志也聲也容也ㅣ니 志則端之初發者ㅣ오 聲容則華之旣見者ㅣ니 志動而形於詩하고 詩成而永歌其聲하고 永歌之不足則 不知手舞足蹈而 動其容焉이니 三者는 皆本於心之感物而動이라 然後에 初之八音之器하야 以及干戚羽旄也ㅣ라 情之感於中者ㅣ 深則文之著於外者ㅣ 明하니 如天地之氣ㅣ 盛於內則 化之及於物者ㅣ 神妙不測也ㅣ라 故曰 和順積中而 英華發外也ㅣ라 由是觀之則 樂之爲樂이 可以矯僞爲之乎아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06 | 조선한문선_건-주해-(6) | 운영자2 | 2021.02.12 | 8 |
105 | 조선한문선_건-주해-(5) | 운영자2 | 2021.02.12 | 20 |
104 | 조선한문선_건-주해-(4) | 운영자2 | 2021.02.12 | 2 |
103 | 조선한문선_건-주해-(3) | 운영자2 | 2021.02.12 | 1 |
102 | 조선한문선_건-주해-(2) | 운영자2 | 2021.02.12 | 4 |
101 | 조선한문선_건-주해-(1) | 운영자2 | 2021.02.12 | 4 |
100 | 朝鮮韓文選__坤-(8) | 운영자2 | 2021.02.12 | 4 |
99 | 朝鮮韓文選__坤-(7) | 운영자2 | 2021.02.12 | 2 |
98 | 朝鮮韓文選__坤-(6) | 운영자2 | 2021.02.12 | 1 |
97 | 朝鮮韓文選__坤-(5) | 운영자2 | 2021.02.12 | 1 |
96 | 朝鮮韓文選__坤-(4) | 운영자2 | 2021.02.12 | 1 |
95 | 朝鮮韓文選__坤-(3) | 운영자2 | 2021.02.12 | 3 |
94 | 朝鮮韓文選__坤-(2) | 운영자2 | 2021.02.12 | 3 |
93 | 朝鮮韓文選__坤-(1) | 운영자2 | 2021.02.12 | 2 |
92 | 題金士純屛銘 | 운영자2 | 2021.02.12 | 3 |
91 | 우순_기자에_대하여 | 운영자2 | 2021.02.12 | 3 |
90 | 오륜차서선후론-대경기획수정 | 운영자2 | 2021.02.12 | 7 |
89 | 예기집설주해-학기_악기- (3) | 운영자2 | 2021.02.12 | 5 |
» | 예기집설주해-학기_악기- (2) | 운영자2 | 2021.02.12 | 5 |
87 | 예기집설주해-학기_악기- (1) | 운영자2 | 2021.02.12 |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