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 樂者는 心之動也ㅣ오 聲者는 樂之象也ㅣ오 文采節奏는 聲之飾也ㅣ니 君子ㅣ 動其本하고 樂其象하야 然後에야 治其飾하나니 是故로 先鼓以警戒하며 三步以見現方하며 再始以著往하며 復亂以飭歸하야 奮疾而不拔蒲末反하며 極幽而不隱하니 獨樂其志하고 不厭其道하며 備擧其道하고 不私其欲하나니 是故로 情見現而義立하며 樂終而德尊이라 君子ㅣ 以好善하고 小人이 以聽過하나니 故로 曰生民之道는 樂爲大焉이라하니라
<3-407>
動은 其本心之動也ㅣ니 心動而有聲하고 聲出而有文采節奏則 樂飭矣니 樂之將作에 必先擊鼓하야 以聳動衆聽이라 故曰 先鼓以警戒ㅣ오 舞之將作에 必先三擧足하야 以示其舞之方法이라 故曰 三步하야 以見方이오 再始는 謂一節終而 再作也ㅣ오 往은 進也ㅣ오 亂은 終也ㅣ니 如云關雎之亂에 歸舞畢而退就位也ㅣ오 再始以著往者는 再擊鼓하야 以明其進也ㅣ오 復亂以飭歸者는 復擊鐃하야 以謹其退也ㅣ니 此兩句는 言舞者ㅣ 周旋進退之事ㅣ오 拔은 如拔來赴往之拔이니 言舞之容이 雖若奮迅疾速而 不過於疾也ㅣ오 樂之道ㅣ 雖曰 幽微難知而 不隱於人也ㅣ라 是故로 君子以之爲己則 和而平이라 故로 獨樂其志오 不厭其道는 言學而不厭이니 以之爲人則 愛而公이라 故로 備擧其道하고 不私其欲은 言誨人不倦也ㅣ라 情見於樂之初而 見其義之立하고 化成於樂之終而 知其德之尊하니 君子ㅣ 聽之而好善하야 感發其良心也ㅣ오 小人聽之而知過하야 蕩滌其邪穢也ㅣ라 故曰 以下는 亦引古語하야 結之라 此章은 諸家ㅣ 皆以爲論大武之樂하야 以明伐紂之事라하고 且以再始로 爲十一年觀兵하고 十三年伐紂하니 此誤ㅣ 久矣라 愚는 謂此는 特通論樂與舞之理ㅣ 如此耳라 故曰 生民之道는 樂爲大焉이라 豈可以生民之道ㅣ 莫大於戰伐哉아
16. 樂也者는 施也ㅣ오 禮也者는 報也ㅣ며 樂은 樂其所自生하고 禮는 反其所自始하나니 樂은 章德하고 禮는 報情反始也하나니라
文蔚이 問如何是章德고 朱子ㅣ 曰和順이 積諸中에 英華發於外ㅣ 便是章著其內之德이라 ○馬氏曰 樂由陽來하니 陽은 散其文而 以生育爲功이라 故로 樂主於施하고 禮由陰作하니 陰은 斂其質而 以反朴爲事ㅣ라 故로 禮主於報ㅣ라 舜이 生於紹堯而 施及於天下ㅣ라 故로 作大韶하고 武王이 生於武功而 施及於天下ㅣ라 故로 作大武하니 此는 樂其所自生也ㅣ오 萬物이 本於天이라 故로 先王이 以郊로 明天之道하고 人本於祖ㅣ라 故로 王者ㅣ 禘其祖之所自出하니 此는 反其所自始也ㅣ라 ○應氏曰 樂有發達動盪之和하니 宣播而出於外하야 一出而不可反이라 故로 曰施ㅣ오 禮有交際酬答之文하야 反復而還於內라 故로 曰報ㅣ라 紹濩夏武는 皆章德而導和하고 祭享朝聘은 皆報情而反始하니 所謂反者는 有收斂之節也ㅣ라
◎所謂大輅者는 天子之車也ㅣ오 龍旂九旒는 天子之旌也ㅣ오 靑黑緣者는 天子之寶龜也ㅣ니 從之以牛羊之羣則 所以贈諸侯也ㅣ라 <3-412>
天子ㅣ 賜車則 上公及同姓侯伯은 金輅ㅣ오 異姓則象輅ㅣ오 四衛則革路ㅣ오 蕃國則木輅ㅣ니 受於天子則 總謂之大輅也ㅣ라 龍旂九旒는 亦上公侯伯則 七旒ㅣ오 子男則 五旒也ㅣ오 寶龜則 以靑黑을 爲之緣飾이오 牛羊이 非一이라 故로 稱羣이니 此는 明報禮之事ㅣ라 ○石梁王氏曰 此八句는 專言禮하니 與上下文으로 不相承하니 當是他篇之錯簡이라
17. 樂也者는 情之不可變者也ㅣ오 禮也者는 理之不可易者也ㅣ라 樂은 統同하고 禮는 辨異하나니 禮樂之說이 管乎人情矣니라
劉氏曰 人情이 感物無常하야 固多變이나 然이나 旣發於聲音而爲樂則 其哀樂이 一定而 不可變矣라 事理는 隨時有異하니 固多易也ㅣ나 然이나 旣著之節文而爲禮則 其威儀一定而 不可易矣라 惟其不可變故로 使人佚能思初에 安能惟始하고 和順道德而 純然罔間은 所謂總同也ㅣ오 惟其不可易故로 使人親疎ㅣ 有序貴賤有等하야 謹審節文而 截然不亂하니 所謂辨異也ㅣ라 此는 禮樂之說이 所以管攝乎人情也ㅣ라
18. 窮本知變은 樂之情也ㅣ오 著誠去僞는 禮之經也ㅣ니 禮樂이 偩負天地之情하며 達神明之德하며 降興上下之神하야 而凝是精粗之體하며 領父子君臣之節하나니라 (3-415)
朱子曰 偩는 依象也ㅣ라 ○劉氏曰 人情이 理同而氣異하니 同則本一하고 異則變多하니 樂以統同이라 故로 可使人窮其本之同而 知其變之異하고 人情理微而欲危하니 微則誠隱하고 危則僞生하니 禮以辨異라 故로 可使人去其欲之僞而 著其理之誠也ㅣ라 窮本知變者는 感通之自然이라 故로 曰情이라 著誠去僞者는 修爲之當然이라 故로 曰經이라 ○愚는 謂 禮樂之作이 道與器ㅣ 未始相離라 故로 曰 凝是精粗之體也ㅣ라
19-1. 是故로 大人이 擧禮樂은 則天地將爲昭焉이니 天地ㅣ 訢欣合하야 陰陽이 相得하야 煦吁句反嫗於句反覆方姤反育萬物然後에야 草木이 茂하며 區萌이 達하며 羽翼이 奮하고 角觡格이 生하고 蟄蟲이 昭蘇하며 羽者ㅣ 嫗伏扶又反하며 毛者ㅣ 孕鬻育하며 胎生者ㅣ 不殰瀆하며 而卵生者ㅣ 不殈吁闃反則 樂之道ㅣ 歸焉耳니라
大人擧禮樂은 言聖人이 在天子之位而 制禮作樂也ㅣ오 天地將爲昭焉은 言將以禮樂而 昭宣天地化育之道也ㅣ오 訢合和氣之交感卽 陰陽相得之妙也ㅣ라 天以氣煦之하고 地以形嫗之하니 天煦覆而 地嫗育은 是煦嫗覆育萬物也ㅣ오 屈生曰勾ㅣ니 曲而生者也ㅣ오 角之無䚡者曰 觡이니 䚡은 謂角外皮之滑澤者ㅣ오 蟄藏之蟲이 初出에 如暗而得明하고 如死而更生이라 故로 曰 昭蘇也ㅣ오 嫗伏는 體伏而生子也ㅣ오 孕鬻은 姙孕而育子也ㅣ오 殰은 未及生而胎敗也이오 殈은 裂也이니 凡物이 皆得自生自育而 無所害者는 是皆歸於聖人禮樂參贊之道耳라
19-2. 樂者는 非謂黃鐘大呂弦歌干揚也ㅣ라 樂之末節也ㅣ니 故로 童者ㅣ 舞之하고 鋪筵席하며 陳尊俎하고 列籩豆하고 以升降爲禮者는 禮之末節也故로 有司掌之하고 樂師ㅣ 辨乎聲詩故로 北面而弦하고 宗祝이 辨乎宗廟之禮故로 後尸하고 商祝이 辨乎喪禮故로 後主人이니 是故로 德成而上하고 藝成而下하며 行成而先하고 事成而後ㅣ니 是故로 先王이 有上하며 有下하며 有先하며 有後然後에야 可以有制於天下也ㅣ니라 <3-419>
禮樂之事ㅣ 有道有器하니 前經에 皆言禮樂之道하고 此以器言은 謂道之精者ㅣ 非習藝習事者에 所能知也ㅣ라 干揚은 皆舞者所執이오 商祝은 皆知殷禮者ㅣ니 殷尙質이라 喪禮에 以質爲主ㅣ라 故兼用殷禮也ㅣ오 北面은 位之卑也ㅣ니 宗廟之敬은 在尸하고 喪禮之哀는 在主人하니 在尸與主人之後는 其輕을 可知也ㅣ라 德行은 在君하고 尸主人童子有司는 習於藝하고 宗祝商祝은 習於事ㅣ라 故로 上下先後之序ㅣ 如此ㅣ라 ○ 石梁王氏曰 德成而上 註에 云德은 三德也ㅣ라하니 漢儒訓解에 每以三德으로 爲德이라
20. 魏文侯ㅣ 問於子夏曰 吾ㅣ 端冕而聽古樂則唯恐臥하고 聽鄭衛之音則 不知倦하나니라 敢問古樂之如彼는 何也ㅣ며 新樂之如此는 何也ㅣ오 子夏ㅣ 對曰 今夫古樂은 進旅退旅하며 和正以廣하며 弦匏笙簧이 會守拊鼓하며 始奏以文하고 復亂以武하며 治亂以相하며 訊疾以雅하나니 君子ㅣ 於是에 語하야 於是에 道古하야 修身及家하야 平均天下하나니 此ㅣ 古樂之發也ㅣ니이다
(3-421)
厭之라 故로 惟恐臥하고 好之라 故로 不知倦이라 如彼는 外之也ㅣ오 如此는 內之也ㅣ라 旅는 衆也ㅣ니 或進或退하야 衆皆齊一無參差也ㅣ오 和正以廣은 無姦聲也ㅣ오 弦匏笙簧之器ㅣ 雖多ㅣ나 必會合相守하야 待擊拊鼓然後에 作也ㅣ오 文은 謂鼓也ㅣ오 武는 謂金鐃也ㅣ니 樂之始奏에 先擊鼓ㅣ라 故로 云始奏以文하고 亂者는 卒章之節이니 欲退之時에 擊金鐃而終이라 故로 云復亂以武ㅣ라 相은 卽拊也ㅣ니 所以輔相於樂하야 治亂而使之理라 故로 云治亂以相也ㅣ오 訊은 亦治也ㅣ오 雅는 亦樂器也ㅣ니 過而失節을 謂之疾奏ㅣ니 此雅器는 以治舞者之疾이라 故로 云訊疾以雅也ㅣ라 於此而語樂은 是道古樂之正也ㅣ니 知古樂而 明修身之道則 家齊國治而 天下平矣라 ○方氏曰 鼓聲은 爲陽이라 故로 謂之文이오 鐃聲은 爲陰이라 故로 謂之武ㅣ오 平은 言無上下之偏이오 均은 言無遠近之異라
21-1. 今夫新樂은 進俯退俯하며 姦聲以濫하야 溺而不止하며 及優侏儒獶雜子女하야 不知父子하나니 樂終不可以語ㅣ며 不可以道古ㅣ니 此ㅣ 新樂之發也ㅣ니라
進俯退俯는 謂俯僂曲折하야 行列이 雜亂也ㅣ오 姦聲以濫은 卽前章所謂 滌濫之音이니 謂姦邪之聲이 侵濫不正也ㅣ오 溺而不止는 卽前章所謂 狄成之音이니 謂其聲이 沈淫之久也에 及俳優雜戱하니 侏儒短小之人이 如獼猴之狀하니 間雜於 男子婦人之中하야 不復知有父子尊卑之等하니 作樂雖終이나 無可言者ㅣ온 況可與之言古道乎아 獶與猱로 同이라
今君之所問者는 樂也ㅣ오 所好者는 音也ㅣ니 夫樂者는 與音相近而不同하니이다 文侯ㅣ 曰敢問何如오 子夏ㅣ 對曰 夫古者에 天地順而四時當하며 民有德而五穀昌하며 疾疢丑刃反不作而無妖祥하더니 此之謂大當이니 然後에야 聖人이 作爲父子君臣하야 以爲紀綱하시니 紀綱이 旣正하야 天下大定하니 天下大定然後에야 正六律하며 <3-425>
四時當은 謂不失其序也ㅣ오 妖祥은 祥亦妖也ㅣ니 書에 言亳有祥이라하니라 大當은 大化之均調也ㅣ라 作爲父子君臣以爲紀綱是一句讀는 言聖人이 立父子君臣之禮하야 爲三綱六紀之目也ㅣ라 綱은 維綱大繩이오 紀는 附綱小繩이오 綱目則附於紀也ㅣ니 三綱은 謂君爲臣綱이며 父爲子綱이며 夫爲妻綱이오 六紀는 謂諸父有善하고 諸舅ㅣ 有義하고 族人이 有叙하고 昆弟ㅣ 有親하고 師長이 有尊하고 朋友ㅣ 有舊也ㅣ라 先序之以禮라야 乃可和之以樂이라 故然後에 有正六律以下之事ㅣ라 周子ㅣ 曰 古者聖王이 制禮法修敎化하야 三綱正하고 九疇ㅣ 敍하고 百姓이 大和하고 萬物이 咸若이라 乃作樂하야 以宣八風之氣하야 以平天下之情意라 蓋本此詩는 大雅皇矣之篇이라 莫靜也ㅣ오 德音은 名譽也ㅣ오 俾는 當依詩하야 作比ㅣ라 子夏ㅣ 引詩하야 以證德音之說하니라 ○嚴氏曰 王季ㅣ 雖無心於干譽나 然이나 其德이 明而類하며 長而君하며 順而比하야 自不可掩이니 類者는 明之充이오 君者는 長之推이오 比者는 順之積이니 克明은 謂知此理오 克類는 謂觸類而通하야 一理混融에 徹上徹下也ㅣ오 君은 又尊於長하니 學記에 言能爲長然後에 能爲君이 是也ㅣ라 以之君臨大邦則 克順而能和其民하고 克比而能親其民이오 順言은 不擾ㅣ오 比則驩然相愛矣라 比及文王하야 其德이 無有可悔하야 從容中道하야 無毫髮之慊也ㅣ라 言王季之德이 傳于文王而益盛이라 故로 能受天之福而 延于子孫也ㅣ라
今君之所好者는 其溺音乎인저 文侯ㅣ 曰敢問溺音은 何從出也ㅣ오 子夏ㅣ 對曰 鄭音은 好濫淫志하고 宋音은 燕女溺志하고 衛音은 趨促數速煩志하고 齊音은 敖辟喬志하나니 此四者는 皆淫於色而害於德할새 是以로 祭祀에 弗用也하니이다
溺音은 淫溺之音ㅣ오 濫者는 泛濫之義니 謂泛及非已之色也ㅣ오 燕者는 晏安之意니 謂恥於娛樂而不反也ㅣ오 趨數는 迫促而疾速也ㅣ오 敖辟은 倨肆而偏邪也ㅣ니 四者ㅣ 皆以志言은 淫溺은 較深하고 煩驕는 較淺이나 然이나 皆以害德이라 故로 不可用之宗廟ㅣ라
詩云 肅雍和鳴이라 先祖ㅣ 是聽이라하니 夫肅은 肅敬也ㅣ오 雍은 雍和也ㅣ니 夫敬以和ㅣ면 何事不行이리잇고 <3-429>
詩는 周頌有瞽之篇이라 因上文에 言溺音害德祭祀弗用이라 故로 引之하니라
爲人君者는 謹其所好惡而已矣니 君이 好之則臣이 爲之하고 上이 行之則民이 從之하나니 詩云誘民孔易라하니 此之謂也ㅣ니이다
德音之正과 溺音之邪ㅣ 皆易以感人이라 故로 人君이 不可不謹所好惡也ㅣ라 詩는 大雅板之篇이라 誘는 詩에 作牖하니라
然後에 聖人이 作爲鞉鼓椌腔楬丘八反壎暄箎池하시니 此六者는 德音之音也ㅣ라 然後에 鍾磬竽瑟以和之하고 干戚旄狄以舞之하니 此ㅣ 所以祭先王之廟也ㅣ며 所以獻酬酳酢也ㅣ며 所以官序貴賤各得其宜也ㅣ며 所以示後世有尊卑長幼之序也ㅣ니이다 <3-431>
鞉은 如鼓而小하니 待柄搖之에 旁耳自擊이오 椌楬은 柷敔也ㅣ오 壎은 六孔이니 燒土爲之오 篪는 大者는 長이 尺四寸이오 小者는 尺二寸竹也ㅣ니 六者는 皆質素之聲이라 故로 云德者ㅣ라 旣用質素爲本然後에 用鍾磬竽瑟四者華美之音하야 以贊其和하고 干은 楯也ㅣ오 戚은 斧也ㅣ니 武舞所執이오 旄는 旄牛尾也ㅣ오 狄은 翟이니 雉羽也ㅣ니 文舞所執이라 此則宗廟之樂也ㅣ라 酳은 說見前篇하니라 有事於宗廟則 有獻酬酳酢之禮也ㅣ라 宗廟朝廷엔 無非禮樂之用이니 所以貴賤之官序와 長幼之尊卑ㅣ 自今日而垂之後世也ㅣ니라
鍾聲은 鏗이니 鏗以立號하고 號以立橫古曠反하고 橫以立武하나니 君子ㅣ 聽鍾聲하면 則思武臣하며
鏗然有聲은 號令之象也ㅣ라 號令은 欲其威嚴이오 橫則盛氣之充滿이니 令嚴氣壯은 立武之道ㅣ라 故로 君子ㅣ 聽之而思武臣이라
石聲은 磬이니 磬以立辨하고 辨以致死하나니君子ㅣ 聽磬聲則思死封疆之臣하며 <3-433>
舊說에 磬은 讀爲罄이라 謂其聲音이 磬罄然하니 所以爲辨別之意라 死生之際에 非明辨於義而 剛介如石者ㅣ면 不能決이라 封疆之臣은 致守於彼此之限而 能致死於患難之中이라 故로 君子ㅣ 聞聲而知所思也ㅣ라
絲聲은 哀하니 哀以立廉하고 廉以立志하나니君子ㅣ 聽琴瑟之聲하면 則思志義之臣하며
人之處心이 雖當放逸之時而 忽聞哀怨之聲하고 亦必爲之惻然而收斂하나니 是는 哀能立廉也ㅣ라 絲聲이 凄切하야 有廉劌裁割之義하고 人有廉隅則 志不誘於欲이니 士無故에 不去琴瑟이 有以也夫인저
竹聲은 濫하니 濫以立會하고 會以聚衆하나니君子ㅣ 聽竽笙簫管之聲하면 則思畜聚之臣하며
舊說에 濫은 爲擥聚之義라 故로 可以會며 可以衆이라 畜聚之臣은 謂節用愛人容民畜衆者ㅣ오 非謂聚斂之臣也ㅣ라 ○劉氏曰 竹聲은 汎濫하니 汎則廣及於衆而 衆心歸之라 故로 以立會聚而 君子ㅣ 聞竹聲則 思容民畜衆之臣也ㅣ라
鼓鼙之聲은 讙하니 讙以立動하고 動以進衆하나니 君子ㅣ 聽鼓鼙之聲則 思將帥之臣하나니 君子之聽音은 非聽其鏗鎗而已也ㅣ라 彼亦有所合之也ㅣ니이다 <3-435>
鼙는 軍鼓ㅣ라 讙은 謂讙囂也ㅣ니 其聲이 諠雜하야 使人心意動作이라 故로 能進發其衆이라 前言武臣은 泛言之也ㅣ오 此는 專指將帥而言이니 蓋師는 以鼓進而進之權은 在主將也ㅣ라 彼는 謂惡聲也ㅣ오 合之는 契合於心也ㅣ라 ○應氏曰 八音에 擧其五而 不言匏土木者는 短滯하고 土聲은 重濁하고 木聲은 樸質而 無輕淸悠颺之韻이라 然이나 木以擊鼓而匏亦在竽笙之中矣라 <3-436>
22-1.賓牟賈ㅣ 侍坐於孔子ㅣ러니 孔子ㅣ 與之言及樂曰 夫武之備戒之已久는 何也ㅣ오 對曰 病不得其衆也ㅣ니이다
賓牟는 姓이오 賈는 名이라 孔子ㅣ 問大武之樂에 先擊鼓하야 備戒已久에 乃始作舞는 何也오 賈ㅣ 答言武王이 伐紂之時에 憂病不得士衆之心이라 故로 先鳴鼓以戒衆하고 久乃出戰하니 今欲象此ㅣ라 故로 令舞者로 久而後出也ㅣ라
22-2.咏歎之淫液之는 何也오 對曰 恐不逮事也ㅣ니이다
此ㅣ 亦孔子ㅣ 問而 賈ㅣ 答也ㅣ라 咏歎은 長聲而歎也ㅣ오 淫液은 聲音之連延이 流液不絶之貌ㅣ오 逮는 及也ㅣ니 言 武王이 恐諸侯後至者ㅣ 不及戰事ㅣ라 故로 長歌以致其望慕之情也ㅣ라
22-3.發揚蹈厲之已蚤는 何也오 對曰 及時事也ㅣ니이다
問 初舞時에 卽手足發揚하야 蹈地而猛厲ㅣ 何其太蚤乎아 賈ㅣ 言 象武王及時伐紂之事ㅣ라 故로 不可緩이라 然이나 下文에 孔子ㅣ 言 是太公之志則 此答이 非也ㅣ라
22-4.武坐致右憲軒左는 何也오 對曰 非武坐也ㅣ니이다
坐는 跪也ㅣ라 問 舞武樂之人이 何故로 忽有時而跪하야 以右膝至地而 左足仰之는 何也오 憲은 讀爲軒輊之軒이니 賈ㅣ 言非武人坐ㅣ 舞法無坐也ㅣ라 然이나 下文에 孔子ㅣ 言 武亂皆坐는 是周召之治則 武舞有坐ㅣ 此答이 亦非也ㅣ라
22-5.聲淫及商은 何也오 對曰 非武音也ㅣ니이다 子ㅣ 曰若非武音則何音也ㅣ오 對曰 有司ㅣ 失其傳也ㅣ니 若非有司ㅣ 失其傳하면 則武王之志荒矣로소이다 子ㅣ 曰唯ㅣ라 丘之聞諸萇弘에 亦若吾子之言하더니 是也ㅣ라 (3-439)
淫은 貪欲之意也ㅣ니 武樂之中에 有貪商之聲則是는 武王이 貪欲紂之天下ㅣ라 故로 取之也ㅣ라 賈言이 非武樂之聲也ㅣ라 孔子ㅣ 又問旣非武樂之聲則 是何樂聲乎아 賈ㅣ 又言此는 典樂之官이 失其相傳之說也ㅣ니 若非其所傳之眞而 謂武王이 實有心於取商則 是는 武王之志ㅣ 有荒繆矣니 豈精明神武應天順人之志哉아 孔子ㅣ 於是에 然其言而 謂其言이 與萇弘相似也ㅣ라 一說에 商聲이 爲殺伐之聲하니 淫은 謂商聲之長也ㅣ라 若是武樂之音則 是는 武王이 有嗜殺之心矣라 故로 云志荒也ㅣ라
22-6.賓牟賈ㅣ 起하야 免席而請曰 夫武之備戒之已久는 則旣聞命矣어니와 敢問遲之하며 遲而又久는 何也잇고 子ㅣ 曰居하라 吾ㅣ 語汝호리라 夫樂者는 象成者也ㅣ니 總干而山立은 武王之事也ㅣ오 發揚蹈厲는 太公之志也ㅣ오 武亂皆坐는 周召之治也ㅣ니라
免席은 避席也ㅣ라 備戒已久는 所謂遲也ㅣ오 久立於綴은 是遲而又久也ㅣ라 孔子ㅣ 言作樂者ㅣ 倣象其成功이라 故로 將舞之時ㅣ 舞人이 總待干盾을 如山之立하야 嶷然不動하니 此는 象武王이 持盾하야 以待諸侯之至라 故로 曰武王之事也ㅣ오 所以發揚蹈厲는 象太公에 威武鷹揚之志也ㅣ오 亂은 樂之卒章也ㅣ라 上章에 言復樂以武는 言武舞將終而 坐는 象周公召公에 文德之治니 蓋以文而止武也ㅣ라
22-7.且夫武ㅣ 始而北出하고 再成而滅商하고 三成而南하고 四成而南國을 是疆하고 五成而分하야 周公이 左하고 召公이 右하고 六成에 復綴은 以崇天子ㅣ니라 <3-442>
成者는 曲之一終이니 書에 云簫韶九成이라하니라 孔子ㅣ 又言 武之舞也에 初自南第一位而 北至第二位라 故로 云始而北出也ㅣ니 此是一成이오 再成則 舞者ㅣ 從第二位하야 至第三位하니 象滅商也ㅣ오 三成則 舞者ㅣ 從第三位하야 至第四位하야 極於北而 反乎南하니 象克殷而 南還也ㅣ오 四成則 舞者ㅣ 從北頭第一位하야 却至第二位하니 象伐紂之後에 疆理南方之國也ㅣ오 五成則 舞者ㅣ 從第三位하야 至第三位하야 乃分爲左右하니 象周公이 居左하고 召公이 居右也ㅣ오 綴은 謂南頭之初位也ㅣ니 六成則 舞者ㅣ 從第三位而 復于南之初位하니 樂至六成而 復初位는 象武功成而 歸鎬京에 四海ㅣ 皆崇武王하야 爲天子矣라 ○陳氏曰 樂終而德尊也ㅣ라
22-8.夾振之而駟伐은 盛威於中國也ㅣ오
此又申言 武始北出以下事ㅣ라 二人이 夾舞者而 振鐸하야 以爲節則 舞者ㅣ 以戈矛로 四次擊刺는 象伐紂也ㅣ라 駟는 讀爲四ㅣ오 伐은 如泰誓四伐五伐之伐이니 此는 象武王之兵이 所以盛威於中國也ㅣ라 一說에 引君이 執干戚就舞位하야 讀天子連下句하니 但舊註는 以崇訓克則 未可通耳라 四伐은 或象四方征伐이니 武ㅣ 勝殷而滅國者ㅣ 五十則 亦有東征西討南征北伐之事矣라
22-9.分夾而進은 事蚤濟也ㅣ오 久立於綴은 以待諸侯之至也ㅣ니라
分은 部分也ㅣ니 舞者ㅣ 各有部分而 振鐸者ㅣ 夾之而進也ㅣ라 濟는 猶成也ㅣ니 此於武王之事ㅣ 爲早成也ㅣ라 舞者久立於行綴之位는 象武王待諸侯之集也ㅣ라
22-10.且女ㅣ 獨未聞牧野之語乎아 武王이 克殷하시고 反及商하야 未及下車而 封黃帝之後於薊하시며 封帝堯之後於祝하시며 封帝舜之後於陳하시고 下車而封夏后氏之後於杞하시며 投殷之後於宋하시며 封王子比干之墓하시며 釋箕子之囚하사 使之行商容而 復其位하시며 庶民을 弛政하시며 庶士는 倍祿하시고
反은 讀爲及하니 言牧野克殷師之後에 卽至紂都也ㅣ라 殷後는 不曰封而 曰投者는 擧而徙置之辭也ㅣ라 然이나 封微子於宋은 在成王時하니 此는 特歷敍黃帝堯舜禹湯之次而言之耳라 其曰未及下車而封과 與下車而封은 先後之辭ㅣ니 讀者ㅣ 不以辭害意ㅣ 可也ㅣ라 行商容은 卽書에 所謂式商容閭也ㅣ오 弛政은 解散紂之虐政也ㅣ니 一說에 謂罷其征役이라 倍祿은 祿薄者를 倍增之也ㅣ라 <3-446>
22-11.濟河而西하사 馬를 散之華出之陽而弗復乘하며 牛를 散之桃林之野而弗復服하며 車甲을 血半許靳反而藏之府庫而 弗復用하며 倒載干戈하고 包之以虎皮하며 將帥之士를 使爲諸侯하시고 名之曰建櫜高ㅣ라하시니 然後에 天下ㅣ 知武王之不復用兵也하니라
血半은 與釁同하니 以血塗之也ㅣ라 凡兵器之載를 出則刃向前하고 入則刃向後하니 今載還鎬京而 刃向後는 有似於倒ㅣ라 故로 云倒載也ㅣ라 建은 讀爲鍵이니 鎖也ㅣ오 櫜은 韜兵器之具ㅣ니 兵器를 皆以鍵櫜閉藏之하야 示不用也ㅣ라 封將帥爲諸侯는 賞其功也ㅣ니 今詳文理하니 名之曰 建櫜一句는 當在虎皮之下 將帥之上이라
22-12.散軍而郊射호대 左射石은 貍首ㅣ오 右射은 騶虞ㅣ니 而貫革之射이 息也하며 裨冕搢笏하시니 而虎賁之士ㅣ 說脫劒也하며 祝乎明堂하시니 而民이 知孝하며 朝覲然後에 諸侯ㅣ 知所以臣하며 耕籍然後에 諸侯ㅣ 知所以敬하니 五者는 天下之大敎也ㅣ라 (3-448)
散軍은 放散軍伍也ㅣ오 郊射은 習射於郊學之中也ㅣ오 左는 東學也ㅣ니 在東郊하니 東學之射는 歌狸首之詩하야 以爲節하고 右는 西學이니 在西郊하니 西學之射則 歌騶虞之詩하야 以爲節이라 貫은 穿也ㅣ오 革은 甲鎧也ㅣ니 軍中에 不習禮하고 其射이 但主於穿札이러니 今旣行禮射則 此射이 止而不爲矣라 裨冕은 見曾子問하니라 搢은 揷也ㅣ오 說劒은 解去其佩劒也ㅣ라
22-13.食嗣三老五更於太學하사대 天子ㅣ 袒而割牲하시며 執醬而饋하시며 執爵而酳하시며 冕而總干하시니 所以敎諸侯之弟也ㅣ니 若此則周道ㅣ 四達하며 禮樂이 交通하나니 則夫武之遲久ㅣ 不亦宜乎아
冕而總干은 謂首戴冕而 手執干盾也ㅣ라 餘說은 各見前篇하니라 孔子ㅣ 語賓牟賈에 武樂之詳이 其言이 止此ㅣ라 <3-450>
22-14.君子ㅣ 曰 禮樂은 不可斯須去身이니 致樂以治心하면 則易直子慈諒良之心이 油然生矣오 易直子諒之心이 生則樂하고 樂則安하고 安則久하고 久則天이오 天則神이니 天則不言而信하고 神則不怒而威하나니 致樂以治心者也ㅣ니라 <3-451>
致는 謂硏窮其理也ㅣ라 樂由中出이라 故로 以治心으로 言之라 子諒은 從朱子說하야 讀爲慈良하니 樂之感化人心이 至於天而 且神하니 可以識窮本知變之妙矣라 ○朱子曰 易直子諒之心一句는 從來說得無理會라 却因見韓詩外傳에 子諒은 作慈良字하니 則無可疑矣라
22-15.致禮以治躬則 莊敬하고 莊敬則 嚴威하나니 心中이 斯須不和不樂하면 而鄙詐之心이 入之矣오 外貌ㅣ 斯須不莊不敬하면 而易慢之心이 入之矣니라
禮自外作이라 故로 以治躬으로 言之하니 此는 言著誠去僞之心을 不可少有間斷이라
22-16.故로 樂也者는 動於內者也ㅣ오 禮也者는 動於外者也ㅣ니 樂極和하고 禮極順하야 內和而外順하야 則民瞻其顔色而 弗與爭也하며 望其容貌而民不生易慢焉하나니 故로 德煇動於內하야 而民莫不承聽하며 理發諸外하야而民莫不承順하나니 故로 曰 致禮樂之道ㅣ면 擧而錯之天下ㅣ 無難矣니라
動於內則 能治心矣오 動於外則 能治躬矣라 極和極順則 無斯須之不和不順矣니 所以感人動物이 其效ㅣ 如此ㅣ라 德以輝言은 乃英華發外之驗이오 理發諸外는 是動容周旋之中禮니 君子ㅣ 極致禮樂之道ㅣ면 其於治天下乎에 何有ㅣ리오
22-17.樂也者는 動於內者也ㅣ오 禮也者는 動於外者也ㅣ니 故로 禮主其減하고 樂主其盈하니禮減而進하야 以進爲文하고 樂盈而反하야 以反爲文이라 禮減而不進則銷하고 樂盈而不反則放하나니 故로 禮有報而樂有反하니 禮得其報則樂하고 樂得其反則安하나니 禮之報와 樂之反이 其義一也ㅣ니라
馬氏曰 以體言之면 禮減樂盈이오 以用言之면 禮進樂反이니 樂動於內라 故로 其體主盈하니 蓋樂由中出而 爲人心之所善하고 禮動於外라 故로 其體ㅣ 主減하니 蓋禮自外作而 疑先王이 有以强世也ㅣ라 禮主減이라 故로 勉而作之而 進爲文하고 樂主盈이라 故로 反而抑之而 以反爲文하고 故로 七介以相見하니 不然則己懿오 三辭三讓而至하니 不然則已蹙이오 一獻之禮而 賓主百拜하야 日莫人倦而 齊莊正齊는 此皆勉而進之者也ㅣ오 進旅退旅는 以示其和ㅣ오 弦匏笙簧會守拊鼓以示其統이오 治亂則以相하고 訊疾則以雅하며 作之以柷하고 止之以敔는 此皆反而 抑之者也ㅣ라 減而不進則 幾於息矣라 故로 銷ㅣ오 盈內不及則 至於流矣라 故로 放이라 先王이 知其易偏이라 故로 禮則有報하고 樂則有反하니 禮有報者ㅣ 資於樂也ㅣ오 樂有反者는 資於禮也ㅣ라 ○劉氏曰 禮之儀는 動於外하니 必謙卑退讓하야 以自牧이라 故로 主於減殺하고 樂之德은 動于中하니 必和順充積而後形이라 故로 主於盈盛하니 蓋樂由陽來ㅣ라 故로 盈하고 禮自陰作이라 故로 減也ㅣ니 然이나 禮之體는 雖主於退讓而 其用則 貴乎行之以和ㅣ라 故로 以進爲文也ㅣ오 樂之體는 雖主於充盛而 其用則 貴乎抑之以節이라 故로 以反爲文也ㅣ라 禮若過於退讓而 不進則威儀ㅣ 銷沮하야 必有禮勝則 離之失이오 樂過於盛滿而 不反則 意氣放肆하야 必有樂勝則 流之弊ㅣ라 故로 禮必有和하야 以爲減之報하니 報者는 相濟之意也ㅣ오 樂必有節하야 以爲盈之反하니 反者는 知止之謂也ㅣ라 禮減而得其和하야 以相濟則 從容欣愛而樂矣니 此는 樂以和禮也ㅣ오 樂盈而得其節하야 以知止則 優柔平中而安矣니 此는 禮以節樂也ㅣ라 禮樂이 相須並用而 一歸於無過無不及之中而 合其理之宜라 故로 曰禮之報樂之反이 其義一也ㅣ라하니라
<3-458>
22-18.夫樂者는 樂洛也ㅣ니 人情之所不能免也ㅣ라樂은 必發於聲音하며 形於動靜하나니 人之道也ㅣ라 聲音動靜에 性術之變이 盡於此矣니라 故로 人不耐能無樂하며 樂不耐無形하며形而不爲道ㅣ면 不耐無亂이니 先王이 恥其亂故로 制雅頌之聲하사 以道之하사 使其聲足樂而不流하며 使其文足論而不息하며 使其曲直繁瘠廉肉而救反節奏ㅣ 足以感動人之善心而已矣오 不使放心邪氣로 得接焉이 是先王立樂之方也ㅣ라 <3-459>
方氏曰 聲足樂者는 樂其道ㅣ오 文足論者는 論其理也ㅣ니 道는 所以制用而有節이라 故로 雖樂而不至於流하고 理는 所以明義而無窮이라 故로 可論而不至於息하고 曲者는 聲之柔ㅣ 若絲ㅣ 是也ㅣ오 直者는 聲之剛이 若金이 是也ㅣ오 繁者는 聲之雜이니 若笙이 是也ㅣ오 瘠者는 聲之純이니 若磬이 是也ㅣ오 廉者는 聲之淸이니 若羽ㅣ 是也ㅣ오 肉者는 聲之濁이니 若宮이 是也ㅣ오 節者는 聲之制니 若徵ㅣ 是也ㅣ오 奏者는 聲之作이니 若合이 是也ㅣ라 ○劉氏曰 人情이 有所樂而發於詠歌하니 詠歌之不足而 不知手舞足蹈則 性情之變이 盡於此矣라 故로 人情이 不能無樂하고 樂於中者ㅣ 不能不形於外而 爲歌舞하니 形於歌舞而 不爲文辭以道之於禮義則 必流於荒亂矣라 先王이 恥其然故로 制爲雅頌之聲詩하야 以道迪之하야 使其聲音으로 足以爲娛樂而 不至於流放하고 使其文理로 足以爲講明而 不至於怠息하고 使其樂律之淸濁高下로 或宛轉而曲하며 或徑出而直하며 或豐而繁하며 或殺而瘠하며 或稜隅而廉하며 或圓滑而肉하며 或止而節하며 或作而奏하니 皆足以感發人之善心而 不使放肆之心邪僻之氣로 得接於吾身焉하니 是乃先王立樂之方法也ㅣ라 <3-461>
23-1.是故로 樂在宗廟之中하야 君臣上下ㅣ 同聽之則 莫不和敬하며 在族長鄕里之中하야 長幼同聽之則 莫不和順하며 在閨門之內하야 父子兄弟同聽之則 莫不和親하나니 故로 樂者는 審一以定和하며 比物以飾節하며 節奏ㅣ 合以成文하나니 所以合和父子君臣하며 附親萬民也ㅣ니 是先王立樂之方也ㅣ니라
應氏曰 一者는 心也ㅣ니 心一而所應者ㅣ 不一이라 守一하야 以凝定其和하고 雜比하야 以顯飭其節하고 及其成文하얀 可以合和至親至嚴之倫이며 附親其至疎至衆者ㅣ니 蓋樂發於吾心하야 而感於人心이 無二理也ㅣ라 ○劉氏曰 作樂之道는 先審人聲之所形하야 或風或雅或頌或喜或敬或愛ㅣ 各從一體하야 以定其調度之和然後에 比之樂器之物하야 以飭其節奏하나니 此一條는 言樂以和禮也ㅣ라
23-2.故로 聽其雅頌之聲하면 志意得廣焉하고 執其干戚하며 習其俯仰詘伸하면 容貌ㅣ 得莊焉하고 行其綴兆하며 要其節奏하면 行杭列이 得正焉하며 進退得齊焉하나니 故로 樂者는 天地之命이며 中和之紀라 人情之所不能免也ㅣ라 <3-463>
天地之敎命과 中和之統紀는 所以防範人心者ㅣ 在是하니 曰莊曰正曰齊曰紀는 皆言禮之節樂이라
23-3.夫樂者는 先王之所以飾喜也ㅣ오 軍旅鈇鉞者는 先王之所以飾怒也ㅣ니 故로 先王之喜怒皆得其儕柴焉하사 喜則天下ㅣ 和之하고 怒則暴亂者ㅣ 畏之하니 先王之道에 禮樂이 可謂盛矣라
皆得其儕는 言各從其類하야 喜非私喜하며 怒非私怒也ㅣ라
24-1.子贛이 見師乙而問焉曰 賜는 聞聲歌ㅣ 各有宜也ㅣ라호니 如賜者는 宜何歌也오 師乙이 曰 乙은 賤工也ㅣ니 何足以問所宜리오 請誦其所聞하리니 而吾子ㅣ 自執焉하라 寬而靜하며 柔而正者는 宜歌頌하고 廣大而靜하며 疏達而信者는 宜歌大雅하고 恭儉而好禮者는 宜歌小雅하고 正直而靜하며 廉而謙者는 宜歌風하고 肆直而慈愛者는 宜歌商하고 溫良而能斷者는 宜歌齊니라 夫歌者는 直己而陳德也ㅣ니 動己而天地應焉하며 四時和焉하며 星辰이 理焉하며 萬物이 育焉하나니라 <3-466>
子贛는 孔子弟子端木賜也ㅣ라 樂師名은 乙이라 各有宜는 言取詩之興趣하야 以理其情性하야 使合於宜也ㅣ니 有此德而宜此歌ㅣ라 是正直己身而 敷陳其德也ㅣ라 故로 曰直己而陳德이오 動己는 性天之流行也ㅣ니 動天地感鬼神이 莫近於詩라 故로 曰有四者之應하니라 ○方氏曰 肆는 寬大而舒緩也ㅣ니 商音은 剛決이라 故로 性之柔緩者ㅣ 宜歌之而變其柔하야 爲剛斷하고 齊音은 柔緩이라 故로 性剛決者ㅣ 宜歌之而終至於柔遜이니 蓋各濟其所偏而 融會之於平和之地也ㅣ라 <3-466>
24-2.故로 商者는 五帝之遺聲也ㅣ니 商人이 識之故로 謂之商이오 齊者는 三代之遺聲也ㅣ니 齊人이 識之故로 謂之齊니 明乎商之音者는 臨事而屢斷하고 明乎齊之音者는 見利而讓하나니 臨事而屢斷은 勇也ㅣ오 見利而讓은 義也ㅣ니 有勇有義는 非歌ㅣ면 孰能保此리오
保는 猶安也ㅣ니 言安於勇安於義而不移也ㅣ라 ○疎에 曰 宋是商後ㅣ니 此商人은 謂宋人也ㅣ라
24-3.故로 歌者는 上如抗하며 下如隊하며 曲如折하며 止如槀木하며 倨中矩하며 句中鉤하며 纍纍乎端如貫珠하니 故로 歌之爲言也는 長言之也ㅣ니 說悅之故로 言之하고 言之不足故로 長言之하고 長言之不足故로 嗟歎之하며 嗟歎之不足故로 不知手之舞之足之蹈之也ㅣ니라 子貢이 問樂이라 <3-469>
上如抗下如隊는 言歌聲之高者는 如抗擧하고 其下者는 如墜墮也ㅣ오 稿木은 枯木이오 倨는 微曲也ㅣ오 句는 甚曲也ㅣ오 端은 正也ㅣ오 長言之는 所謂歌는 永言也ㅣ라 ○朱子ㅣ 曰看樂記에 大段形容得樂之氣象이라 當時에 許多各物度數를 人人이 曉得하니 不須說出이라 故로 止說樂之理ㅣ 如此其妙ㅣ러니 今許多度數ㅣ 都沒了하고 只有許多樂之意思是好하니 只是沒頓放處ㅣ라 又曰 今禮樂之書ㅣ 皆亡하야 學者ㅣ 但言其義하고 至於器數則 不復曉하니 蓋失其本矣로다
|
編 著 者 |
|
|
|
|
金 時 晃 戊寅(1938) 生 慶北大學校 名譽敎授 文學博士 東洋禮學會長
主要 著述
▪ E-mail : shwkim@knu.ac.kr (010-2712-6262)
金 正 和 1969年生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문학박사), 일본 와세다대학 · 미국 컬럼비아 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한국학연구소 객원연구원역임, 현재 영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제10회 나손학술상 수상
主要 著書 [古詩形式의 發見], [古詩 律格의 比較學的 硏究] 외 論文 多數. ▪ E-mail : jeny-kim@hanmail.net
|
禮記集說註解 學記·樂記
2007年 12月 1日 初版印刷 |
|
|
|
編著者 : |
金時晃 · 金正和 |
發行者 : |
金時晃 |
發行處 : |
東 洋 禮 學 會 |
印刷處 : |
圖書出版 冊과 世界(053-953-2417) |
※ 낙장본 및 파본은 바꾸어 드립니다. 값5,000원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06 | 조선한문선_건-주해-(6) | 운영자2 | 2021.02.12 | 8 |
105 | 조선한문선_건-주해-(5) | 운영자2 | 2021.02.12 | 20 |
104 | 조선한문선_건-주해-(4) | 운영자2 | 2021.02.12 | 2 |
103 | 조선한문선_건-주해-(3) | 운영자2 | 2021.02.12 | 1 |
102 | 조선한문선_건-주해-(2) | 운영자2 | 2021.02.12 | 4 |
101 | 조선한문선_건-주해-(1) | 운영자2 | 2021.02.12 | 4 |
100 | 朝鮮韓文選__坤-(8) | 운영자2 | 2021.02.12 | 4 |
99 | 朝鮮韓文選__坤-(7) | 운영자2 | 2021.02.12 | 2 |
98 | 朝鮮韓文選__坤-(6) | 운영자2 | 2021.02.12 | 1 |
97 | 朝鮮韓文選__坤-(5) | 운영자2 | 2021.02.12 | 1 |
96 | 朝鮮韓文選__坤-(4) | 운영자2 | 2021.02.12 | 1 |
95 | 朝鮮韓文選__坤-(3) | 운영자2 | 2021.02.12 | 3 |
94 | 朝鮮韓文選__坤-(2) | 운영자2 | 2021.02.12 | 3 |
93 | 朝鮮韓文選__坤-(1) | 운영자2 | 2021.02.12 | 2 |
92 | 題金士純屛銘 | 운영자2 | 2021.02.12 | 3 |
91 | 우순_기자에_대하여 | 운영자2 | 2021.02.12 | 3 |
90 | 오륜차서선후론-대경기획수정 | 운영자2 | 2021.02.12 | 7 |
» | 예기집설주해-학기_악기- (3) | 운영자2 | 2021.02.12 | 5 |
88 | 예기집설주해-학기_악기- (2) | 운영자2 | 2021.02.12 | 5 |
87 | 예기집설주해-학기_악기- (1) | 운영자2 | 2021.02.12 | 6 |